![ⓒ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1/913089_20170112140249_531_0001.jpg)
산업통상자원부가 산하 공기관들이 출자한 회사 중 경영실적이 부진한 30곳 가까이를 연내 정리한다. 전체 출자회사 10곳 중 1곳 꼴이다. 전수조사를 거쳐 3년 연속 적자를 내는 곳 등 우선 퇴출 기준을 정해 오는 6월부터 처리한다. 부실이 커진 해외 자원개발 회사가 주요 정리대상에 오를 전망이다.
산업부는 12일 서울 무역보험공사에서 39개 산하 공공기관장을 소집해 `2017년 제1차 공공기관장 회의`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우선 공기관 출자 회사중 경영 부실이 심각하거나 회생 가능성이 적은 기업 10% 내외를 정리한다.
산업부 산하 39개 공공기관 중 28개 기관이 평균 10개씩 출자해 총 282개 출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282개 출자회사 중 28곳 내외가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출자회사는 해외 자원개발(167개), 해외 발전소 등 건설(45개), 신재생에너지 공급(16개), 지역에너지 공급(8개),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5개) 등 순으로 많다.
산업부는 △3년 연속 적자 △3년 연속 부채비율 200% 이상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자비용·영업이익) 1 미만인 회사는 원칙적으로 정리할 방침이다. 다만 해외 현지법률·계약상 이유 등으로 조기정리가 불가능한 곳은 일정 시한을 정해 처리할 방침이다. 4월 안에 전수조사를 마치고 6월부터 정리에 들어간다.
사업 종료 후에도 실적이 부진한 해외 자원개발 회사가 주요 정리 목표가 될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 자원을 탐사하거나 발전소를 건설을 하는 회사는 사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적자가 나는 구조”라면서 “하지만 사업 종료 후에도 계속 적자를 내거나 경영실적이 안 좋은 자원개발 회사가 있어 이번에 털어낼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별개로 산업부는 올해 공공기관이 투자하기로 한 예산의 상반기 조기 집행과 신규 채용 확대로 경기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산업부 산하 39개 공공기관은 올해 총 투자액 20조2925억원의 62.1%인 11조6930억원을 상반기 내 푼다. 산하 공공기관 올해 투자는 지난해(18조3275억원)에 비해 약 10.1% 늘었다. 또 올해 신규채용(정규직) 예정 4054명 중 60%(2442명)를 상반기에 채용한다. 14개 에너지 공기관이 시행 중인 선금 지급 한도는 39개 모든 공공기관으로 확대 적용하고, 선금지급 한도를 70%에서 80%로 높인다. 상반기 경기 회복 마중물을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의지다.
산업부·공기관은 올해 사이버보안 인력, 예산을 늘려 보안 위협에 대처한다.
산하 공기관은 사이버보안 인력을 지난해 417명보다 23.3%(97명) 늘어난 514명이 채용할 계획이다. 올해 사이버보안 예산도 지난해 1202억원보다 20.9%(251억원) 늘어난 1453억원으로 책정했다. 이외에 부채 감축·임금피크제·성과연봉제 등 공공기관 경영정상화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11개 부채 중점 관리기관(한전·한수원·남동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서부발전·중부발전·석유공사·가스공사·광물자원공사·석탄공사)은 올해 13조1439억원 규모 부채 감축에 나선다. 임금피크제로 1035명을 신규 채용할 방침이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산업부와 공공기관이 팀워크를 발휘하면 어떠한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 39개 공공기관이 산업부와 함께 우리나라 실물경제 회복 선봉에서 힘 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