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연구산업 육성전략 수립을 위해 산학연 각계 전문가들로 포럼을 구성해 19일 첫 모임을 가졌다고 밝혔다.
연구산업이란 연구개발(R&D) 각 단계별로 투입 산출되는 자원과 결과물을 연계해 부가가치화 할 수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생태계를 의미한다. 연구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보다 강화해 나가는 것이다. 연구산업 육성 분야는 크게 △연구장비 △수탁연구 △연구관리 △지능정보사회 신서비스로 나뉜다.
첨단연구장비 분야는 장비개발에 필요한 원천기술 확보 지원, 연구장비 기술 상용화 촉진 인프라(테스트 베드 등) 구축 등으로 외산장비 의존을 탈피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이다. 연구개발 전문기업(CRO 포함)과 시험·분석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지원과 연구개발컨설팅, 특허관리·기술사업화 지원 등 연구관리 기업들의 역량강화도 연구산업 육성의 핵심 영역이다.
과학기술 연구개발 빅데이터의 개방·활용과 공공재 역할을 하는 첨단기술개발 등 연구개발 관련 새로운 서비스·상품 개발, 사업화 영역 발굴이 포함된다.
미래부는 향후 포럼의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연구산업 전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담은 육성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공청회 개최 등 `연구산업` 육성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진규 미래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지능정보기술의 발전과개방형 혁신 트렌드의 확산에 따라 R&D를 지원하는 다양한 분야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계·종합해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산업 분야>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