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로봇 시장이 견실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선 투자 확대, 법제도 정비, 가격 대중화 등이 수반돼야 한다.
국내 로봇 업계는 생활 로봇, 산업용 로봇 등을 제작하는 기업이 대다수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장기 관점에서 대규모 투자와 연구개발(R&D)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로봇 분야 R&D 투자액은 2012년부터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권구복 KDB산업은행 경제연구소 연구원은 22일 “서비스용 로봇(생활 로봇)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 경쟁, 규격화와 표준화를 통한 원가 절감 및 신뢰성 제고, 생태계 조성 등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법제도의 미비점을 시급히 해소해야 한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생활 로봇 융·복합 제품이 개발됐을 때를 대비한 제품 평가 기준, 안전성 검증, 인증 제도 등이 수립돼야 하기 때문이다.
한 중소 로봇 업체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로봇 산업 진흥을 위해 다각도로 로봇 관련 법체계 구성에 나서고 있지만 속도가 매우 더딘 상황”이라면서 “국내에서 로봇 산업이 급속도로 커졌을 때를 대비, 다양한 로봇별 인증 체계와 분류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생활 로봇이 대중화 시대를 본격 열기 위해선 일반 소비자가 큰 부담감 없이 구매할 수 있을 만한 가격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가격이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등 비싸면 심리 장벽이 높아져서 소수 마니아층을 위한 제품군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LG전자, 코웨이 등이 CES 2017에서 선보인 생활 로봇은 아직 출시 이전이지만 수십만원 선에서 가격이 책정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장병탁 서울대 교수는 “생활 로봇이 대중화되기 위해선 가격이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스마트폰 1대 가격 정도이면서 그만큼 부가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면 충분히 호응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