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밥상에 이름을 올려라.`
지난주부터 `설 민심`이 정치권 최대 이슈다. 차기 대선 주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지역 방문 일정을 늘리며 광폭 행보를 펼쳤다. 설 민심 주인공이 되기 위해서다.
대통령 탄핵심판 시계가 빨라지면서 더 분주해졌다. 증인신문과 최종 변론이 2월 중순경 마무리되면 5월 조기 대선이 치러질 수도 있다.
대선 주자와 정치권은 이번 설 민심이 대선 결선까지 이어질 중요 판세 고비로 보고 있다. 조기 대선이 치러진다면 4개월가량 남겨둔 최대 명절이기 때문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마음 졸이는 건 충분히 이해된다. 하지만 더 이상 설날맞이 단발성 `쇼`는 없었으면 한다. 정치권은 설 연휴에 모여 가족·친지와 모여서 거대 여론이 형성된다고 믿는다. 이 기간에 전력을 집중한다. 밥상머리 민심을 자기 쪽으로 끌어가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한다.
귀성객으로 붐비는 서울역 광장이나, 고속도로 톨게이트·휴게소를 찾아 허리를 굽힌다. 자기 정당 정책은 알리고 상대 당은 비판하는 책자도 배부한다.
새롭지 않다. 이번 설에는 매년 해오던 이러한 이벤트는 보고 싶지 않다. 정치·사회적으로 산적한 현안이 뒤엉켜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1차원적 마케팅에 민심이 움직일 리 없다.
소통은 만나서 악수하고 눈 마주치는 것이 아니다. 마음이 전달되고 통해야 한다. 진정성이 있는 울림이어야 한다.
새해 첫 국회가 `빈손`으로 막을 내렸다. 민생경제법안을 우선 처리하겠다고 여야가 한 목소리를 냈지만 변한 게 없다. 논의 테이블에 올려 보지도 못했다. 자신 없다면 2월 임시 국회도 `패스`했으면 한다. 제대로 일할 준비가 됐을 때 나서는 것이 맞다.
매년 봐 왔지만 설 민심은 거창한 걸 원하지 않는다. 민생을 챙기고, 제 할 일을 묵묵히 하는 정치인 모습을 보고 싶을 뿐이다. 한파와 폭설로 치솟은 야채와 과일 값을 안정시키고, 1인당 1500만원을 넘긴 가계 부채 부담을 줄이고, 국정 정상화에 노력하는 모습 말이다.
상대 당을 헐뜯는 `노이즈 마케팅`은 지겹다 못해 짜증이 날 정도다. 진정 민심을 달랠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 대한민국 경제를 살려야 한다. 그것이 설 명절에 정치인에게 보내는 간결하면서 간절한 민심의 요지다.
굳이 올해도 거리로 나와 민심을 듣고자 한다면 이번 명절 때만이라도 `쓴소리`에 더 귀를 기울였으면 한다. 듣고 싶은 말만 듣고 설 민심을 포장하지 말길 바란다. 포장된 명절 선심에 유권자는 더 이상 속지 않는다.
![[성현희 기자의 날]`설 민심`은 거창한 걸 원하지 않는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7/01/23/article_23111555503490.jpg)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