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기업이 개발한 연구개발(R&D) 결과물의 상용화 수준을 판단해 정부출연금을 지원하는 후불제 기술 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중기청은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후불제 인센티브 방식인 중견기업 전용 R&D 프로그램 `중견기업 글로벌 도약 기술개발사업`을 마련, 올해 처음으로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중견기업 글로벌 도약 기술개발사업`은 기업이 개발한 기술의 상용화 여부를 평가, 사후에 정부출연금을 지원하는 후불형 R&D 지원 사업이다. 기술 개발보다는 개발 기술 상용화에 초점을 맞췄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1/918657_20170131150645_501_0002.jpg)
올해 60억원을 투입해 수출 중견기업 60곳을 발굴, 기업당 최고 5억원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은 정부와 민간이 1대 1 매칭 방식으로 진행한다. 기술 개발 시작 시점에 총 사업비의 20%를 지원하고, 기술 개발을 종료한 이후 상용화 수준을 파악해 성과를 달성하면 나머지 80%를 지원하는 형태다.
사업 기간은 2년 이상 3년 이내다. 사업 참여 대상은 매출 1조원 미만 (예비)중견기업 가운데 수출 지향성이 높은 기업이다.
사업에 참여하려면 R&D 과제를 제안할 때 매출액과 수출액 등 상용화 목표를 정량으로 제시해야 한다. 중기청은 최종 평가에 기업이 제시한 상용화 달성도를 반영할 예정이다.
중기청은 이번 사업을 시행하면 기업의 자기 주도 R&D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상용화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예산을 투입함으로써 재정 지출 효율성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 진행 과정에는 숙성 평가 제도를 도입, 적용한다. 숙성 평가 제도는 전문가 그룹이 1개월 동안 R&D 과제의 개발 기술 수준, 시장 가치, 개발 제품의 시장 현황화·상용화 목표 타당성 등을 조사해 평가하는 것이다.
중기청은 기업 수요에 맞는 시기에 R&D를 활용할 수 있도록 수시 평가를 추진하고, 평가위원이 R&D 전 과정에 참여해 일관성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김대희 중기청 중견기업정책과장은 “올해 새롭게 도입하는 중견기업 해외 마케팅 맞춤형 사업과 산업은행의 중견기업 육성 프로그램 연계 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