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뉴스]나무가_관련종목들 혼조세, IT부품업종 -0.92%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업종지수와 비교해서 위험대비 수익률 낮은 편

7일 오전 11시25분 현재 전일대비 2.3% 하락하면서 46,800원을 기록하고 있는 나무가는 지난 1개월간 19.86%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2.8%를 기록했다. 이는 IT부품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나무가의 월간 변동성이 상당히 커지면서 주가흐름도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나쁜 모습을 보였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나무가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7.0을 기록했는데, 변동성 증가와 주가하락으로 위험대비 수익률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게다가 IT부품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인 -3.2보다도 낮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없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나무가가 속해 있는 IT부품업종은 코스닥지수보다 변동성과 등락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업종등락률이 마이너스지만 시장보다는 탄력이 있고, 흐름도 좋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나무가 2.8% -19.9% -7.0
에스맥 2.7% -1.5% -0.5
모베이스 1.9% 5.6% 2.9
인탑스 1.6% 0.5% 0.3
브레인콘텐츠 1.4% -16.3% -11.6
코스닥 0.6% -5.3% -8.8
IT부품 1.0% -3.2% -3.2

관련종목들 혼조세, IT부품업종 -0.92%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고 IT부품업종은 0.92% 하락하고 있다.
인탑스
10,400원
▲100(+0.97%)
모베이스
9,780원
▼190(-1.91%)
브레인콘텐츠
1,160원
▼45(-3.73%)
에스맥
6,450원
▲20(+0.31%)


11월15일에 나무가 3/4분기(2016년7월~9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3/4분기 662.2억 3.6억 -9.6억
직전분기 대비 11.3% 감소 77.3% 감소 적자지속
전년동기 대비


외국인과 기관은 순매도, 개인은 순매수(한달누적)
기관이 9일연속 주식을 팔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2일연속 주식을 사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도 후 매수의 관점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11주를 순매도했고, 기관도 순매수에서 순매도로 반전되면서 53,280주를 순매도했지만, 개인은 오히려 매수반전의 모습을 보이며 53,391주를 순매수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1.17%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나무가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1.17%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3.57%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투자주체는 개인투자자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79.79%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14.68%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5.51%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77.12%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16.92%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5.94%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와 투자심리는 약세, 거래량은 침체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큰 특징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 관점에서 불완전 정배열상태를 보이며 하락으로 추세전환 신호가 나오고 있다.

현재주가 근처인 47,250원대에 주요매물대가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대 근방에 47,25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47,250원대는 전체 거래의 18.7%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지금부터 주가가 어느 한방향으로 방향을 잡으면 강한 추세적 지지 또는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50,6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47,25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1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47,250원대의 지지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