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첫 민관합동 컨트롤타워 출범...산학연 손잡고 미래차 7대 어젠다 추진

민관 합동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 출범 및 제1차 회의`가 7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렸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자동차 업계 대표 등 산학연 전문가가 미래 자동차 경쟁력 강화 및 발전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김동욱기자 gphoto@etnews.com
민관 합동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 출범 및 제1차 회의`가 7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렸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자동차 업계 대표 등 산학연 전문가가 미래 자동차 경쟁력 강화 및 발전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김동욱기자 gphoto@etnews.com

자동차 산업 위기 극복과 미래 기술 선점을 위한 민·관 정책 조정기구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가 출범했다. 위원회는 미래 자동차 경쟁력 강화와 부품 산업 생태계 혁신을 포함한 7대 어젠다를 도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국산 5개 자동차회사 최고경영자(CEO), 관련 협회·단체·연구기관 등 자동차 산업 전문가들과 함께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를 발족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대표 수출 산업이지만 최근 중국, 인도 등 후발 주자들의 추격과 4차 산업혁명 확산, 불확실한 통상 여건 등으로 전환기에 섰다. 지난해 생산은 전년 대비 7.3% 감소해 세계 5위에서 6위로, 수출은 11.8%가 줄어 3위에서 4위로 각각 떨어졌다. 이 같은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부와 업계는 민·관 컨트롤 타워를 구상했다.

첫 회의에는 주형환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완성차 5사 대표(정진행 현대차 사장, 박한우 기아차 사장, 제임스 김 한국지엠 사장, 박동훈 르노삼성차 사장, 최종식 쌍용차 사장), 김용근 자동차산업협회장, 신달석 자동차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전광민 연세대 교수, 김수욱 서울대 교수, 유병규 산업연구원장, 김병수 자동차부품연구원장, 박청원 전자부품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위원회는 미래 전략 7대 어젠다로 △미래 자동차 경쟁력 강화 △자동차부품 산업 생태계 혁신과 융합 촉진 △자동차 연관 서비스 신산업 창출 △수출 구조 혁신과 통상 정책의 전략 활용 △산업 발전과 환경·안전 규제 조화 △국제 수준에 부합한 노사관계 정립 △자동차 산업 정책 컨트롤 타워 구축 등을 꼽았다.

올해 완성차 5개사는 미래차 분야에 약 4조7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자율차 센서 등 연관 산업에 연구개발(R&D)비 1100억원을 지원하고, 미래차 분야에서 융합형 인재 400여명을 양성한다.

산업부는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을 자동차 산업 전반에 접목시켜 신산업을 창출하기로 하고 부품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현재 800여개 부품기업에 보급한 스마트공장을 2020년까지 3배 이상 수준(2500여개)으로 확대한다.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에서 도출된 공동 R&D 프로젝트를 올해부터 추진하고, 업체 간 전략 제휴가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소통 공간도 만든다.

산업부는 위원회가 제시한 7대 정책 어젠다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자동차산업 발전 전략`을 추진한다. 위원회 산하에 분야별 실무협의체를 운영하고 상반기에 세부 액션플랜까지 마련한다.

주 장관은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민·관이 지혜와 역량을 한데 모은다면 당면 위기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면서 “오늘 논의된 전략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자동차 첫 민관합동 컨트롤타워 출범...산학연 손잡고 미래차 7대 어젠다 추진


문보경 자동차 전문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