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2016년 연매출 1조원 넘어

카카오 CI <전자신문DB>
카카오 CI <전자신문DB>

카카오는 지난해 연매출 1조4642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최초로 연매출 1조원대를 넘어섰다. 게임, 뮤직 등 콘텐츠 플랫폼 매출 성장이 이끌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4538억원, 영업이익은 382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6.0%, 전년 동기 대비 87.8% 증가했다.

콘텐츠 플랫폼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1.7%, 전년 동기 대비 228.7% 상승한 2215억원이다. 게임 콘텐츠 매출은 전분기 대비 18.8%, 전년 동기 대비 63.4% 증가한 932억 원을 기록했다. `프렌즈팝콘 for Kakao` `쿵푸팬더3 for Kakao` `데스티니차일드 for Kakao` 등 4분기 출시 신규 모바일 게임 매출이 확대됐다. `검은사막` `에오스` 등 PC 퍼블리싱 게임 매출도 호조를 보였다.

뮤직 콘텐츠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2.0% 증가한 1069억원으로 집계됐다. 멜론 유료 고객 확대가 가장 큰 요인이다. 로엔엔터테인먼트가 편입되기 전인 2015년과 비교하면 뮤직 콘텐츠 플랫폼에서만 연간 1036억원 매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광고 플랫폼 매출은 1415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11.5%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7.9% 하락했다. 회사는 광고주를 위해 저효율 네트워크 광고를 제외하면서 발생한 자발적 감소분을 감안하면 전분기 대비 14.5%, 전년 동기 대비 5.9%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기타 매출 총액은 908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37.4%, 전년 동기 대비 337.9% 증가한 수치다. 커머스 매출이 견인했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카카오프렌즈 플래그십스토어 홍대점 상품 판매 호조와 연말 성수기를 맞은 카카오톡 선물하기 매출이 상승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26.1%, 전년 동기 대비 85.1% 증가한 382억원이다. 카카오드라이버 등 다양한 서비스 마케팅에 따른 광고선전비 증가와 커머스 매출 상승에 따른 지급수수료 증가로 총 4157억원 영업비용이 발생했다.

카카오는 올해 카카오톡 진화와 인공지능 기술 연구 개발에 집중한다. 카카오톡을 콘텐츠, 비즈니스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바꾼다. 상반기 출시하는 새로운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서 주문, 예약, 상담, 구매가 모두 가능해진다. 장기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것을 모두 도와주는 개인 비서 역할까지 카카오톡에서 가능하도록 개선한다.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 연구 개발도 본격화한다. 1일 설립한 인공지능 기술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중심이다. 핵심 기술 개발과 투자가 이뤄진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직접 카카오브레인 대표를 맡는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