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광주만을 위해서가 아닙니다. 한국의 미래 먹거리, 자동차 산업 도약을 위해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가 필요합니다.”
최근 한국 대표 자격으로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시장 정책을 주도하는 `중국 전기차 백인회` 포럼에 참석한 윤장현 광주시장은 `광주가 품은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 비전을 거듭 천명했다. 거대한 중국 시장 앞에 한국 전기차 산업과 광주 비전에도 무게가 실렸지만 광주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대표 `친환경차 클러스터`로 비상하기 위해선 중국 기업 유치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윤 시장은 “중국은 2020년까지 전기차 500만대를 생산하는 시장 전략과 산업 공감대까지 구체화된 반면에 우리 기업은 미래 자동차를 준비할 구심점을 마련할 생각도 하지 않고 밖으로 나가려고만 한다”면서 “최근 폭스바겐 사태, 미세 먼지 등으로 내연기관에서 모터 기반 친환경차로 급격한 시장 변화가 진행되는 만큼 광주를 아시아 대표 친환경차 산업 육성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광주가 그리는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 사업은 전기차·수소차 등 부품 산업 육성을 골자로 미래형 친환경차 생산 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윤 시장은 우선 `일하기 좋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부터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국내외 유력 기업 유치와 안정된 고용 창출을 위한 노사관계의 글로벌 스탠더드 정립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윤 시장은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경쟁력이 세계 다섯 번째이지만 고임금 탓에 영업이익은 오히려 최저 수준”이라면서 “광주시에 자동차산업과, 사회 통합 추진단 신설로 제정된 `자동차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활용해 바람직한 노사관계를 정립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정된 고용 환경은 보장하되 노조 위주 불균형 노사 관계를 애초부터 근절한다는 설명이다.
윤 시장은 “노사는 물론 행정과 시민 사회가 손을 맞잡고 사회 대타협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부터 입증해 보이겠다”면서 “이를 위해 적정 임금 제도부터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만이 살자는 게 아니라 미국과 중국 양 틈바구니에서 한국 제조업 경쟁력의 위기를 극복할 대안”이라고 역설했다.
실제 윤 시장은 민선 6기에 들어와 광주시 공공 부문에 비정규직 843명 가운데 75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시켰다. 지난해에는 금호타이어 노사와 상생 협력을 끌어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 같은 성과가 알려지면서 최근 김치냉장고 `딤채`와 `위니아` 에어컨으로 알려진 대유위니아가 485억원을 투입, 오는 7월 광주시 소촌공단에 대규모 생산 라인을 구축한다. 세계 반도체 패키징 기업 엠코테크놀러지코리아의 광주 사업장 유치에도 성공했다.
윤 시장은 전장부품 기업 유치에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윤 시장은 “광주에는 기아차뿐만 아니라 기술력을 갖춘 중견 전장 기업도 있고, 이미 광·전자 산업 발달로 융합 전장부품 개발이 용이해 다른 지역에 비해 사업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시험 분석 측정 장비 구축과 공동 연구개발(R&D) 지원센터 등 자동차·가전 전장 산업 생태계가 이미 갖춰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시장은 삼성 전장 사업 유치에도 적극 나설 뜻을 내비쳤다. 윤 시장은 “삼성은 하만을 중심으로 커넥티드카 사업을 육성한 뒤 장기로는 자율주행차, 전기차 핵심 부품과 시스템 분야 등 영역 확대가 예상된다”면서 “삼성 전장 사업의 광주 유치는 지난해 총선 때 더불어민주당 공약으로 제시되면서 표면화됐고, 광주가 삼성 전장 사업 전초기지가 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산업계 등 모든 네트워크를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초 삼성전자 광주 공장의 백색가전 라인 베트남 이전 대안으로 전장 사업 유치를 제안했고, 앞으로도 삼성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삼성이 필요로 하는 것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해 정권 교체가 예상되는 만큼 흔들림 없는 정부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다. 광주시는 지난해 말 6개 산업 분야 8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광주 미래비전 자문단`을 발족했다.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 사업 등에 광주 미래 사업으로 키우려는 윤 시장의 의지가 담겼다.
윤 시장은 “지금까지 공약 발굴 활동에 나선 결과 46건의 단위 과제와 친환경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에 지속 가능한 명분을 확고히 했다”면서 “미래비전 자문단에서 마련한 공약 과제를 시민 토론회 등을 거쳐 보완한 뒤 이달 중에 최종안을 확정, 각 정당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박태준 전기차/배터리 전문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