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신기술 실증 올해 1000억 투입…전담 인력 꾸려 컨설팅

정부가 `에너지신기술` 실증 사업에 올해 1000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신기술 상용화와 함께 신산업 수출 사업화를 앞당기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실증 과정에서 연구 생산성을 높이도록 `에너지신기술 실증 연구 평가 관리 지침`과 전담 지원 조직도 가동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산학연 연구개발(R&D) 전문가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에너지기술 실증 연구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다.

에너지신기술이 유용한 사업으로 연결되기 위해선 발전소나 송배전망 등 전력·에너지망에 연계된 상태에서 개발 제품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실증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에너지 분야 실증 연구는 투자 규모가 줄고 과제 간 칸막이 때문에 과제 자체도 소형화되는 등 침체를 겪고 있다.

이랜시스 스마트공장.(자료사진)
이랜시스 스마트공장.(자료사진)

2012년 19개 과제에 1204억원이 투자됐던 연구 예산은 지난해 46개 과제에 760억원으로 줄었다. 과제는 두 배 이상 늘었는데 예산은 오히려 줄면서 대형과 융·복합 실증은 엄두를 낼수 없는 처지가 됐다.

이에 정부는 우선 올해 에너지기술 실증 연구에 지난해보다 240억원 늘어난 1000억원을 투입한다.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에너지신산업 관련 실증연구에 신규투자를 집중하기로 했다.

하반기에는 에너지기술과 스마트 제조기술을 연계한 스마트공장 실증 등 산업기술과 에너지기술 간 융·복합형 실증 연구에도 예산을 투입한다.

지원 규정, 조직과 관련해선 실증 연구 특성을 반영한 `에너지기술 실증 연구 평가 관리지침`을 제정하는 등 관련 규정을 재정비하기로 했다. 실증연구 개념 및 유형을 명확히 하고, 시설·장비비 비중이 높은 실증 연구 특성에 맞도록 인건비 규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다.

부지 변경, 지자체 인허가 지연 등에 따른 사업 변동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연구 기간 연장을 6개월에서 1년 이상으로 확대한다. 설비 이전 등 절차도 간소화한다. 실증 설비 운영 과정에서 생산된 전기 판매 등으로 나온 수입금은 해당 R&D사업에 재투자하거나, 지역 공익사업에 사용할 수 있다.

R&D 전담 기관 내 기획부터 지자체 인허가, 지역민원 대응, 사업화까지 사업 전주기를 컨설팅해주는 실증 연구 전담 지원 조직도 가동한다. `실증 연구 전략 로드맵`도 수립한다. 에너지 공기업의 대형 시험 시설을 정부 과제 테스트베드로 적극 활용할 수 있게 하고 해외 기관과 공동으로 해외 실증 기회도 넓혀주기로 했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간담회에서 “에너지 신산업 수출은 연구개발과 실증을 통한 실적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테스트베드형 대규모 실증 사업을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 시티 등 여타 산업 분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