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투자뉴스]동아에스티_주요 매물구간인 89,8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위험대비수익률 -1.0,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지 않아

15일 오전 10시20분 현재 전일대비 4.05% 오른 95,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동아에스티는 지난 1개월간 2.56%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에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표준편차는 2.5%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동아에스티의 월간 변동성이 주요종목군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주가등락률도 마이너스권을 나타내고 있다는 의미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동아에스티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1.0을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가장 높았으나 주가하락률이 상대적으로 낮아 위험대비 수익률은 중간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코스피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0.3보다는 낮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동아에스티가 속해 있는 코스피업종은 의약품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업종상승률도 미진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동아에스티 2.5% -2.6% -1.0
한올바이오파마 2.4% 1.2% 0.4
JW중외제약 2.2% -5.1% -2.3
일양약품 1.8% -1.0% -0.5
부광약품 1.4% -1.7% -1.1
의약품 1.0% 0.5% 0.5
코스피 0.3% 0.1% 0.3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상승, 의약품업종 +2.12%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일제히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의약품업종은 2.12% 상승중이다.
부광약품
23,550원
▲750(+3.29%)
한올바이오파마
13,000원
▲350(+2.77%)
JW중외제약
47,350원
▲1650(+3.61%)
일양약품
40,250원
▲1000(+2.55%)

증권사 목표주가 129,700원, 현재주가 대비 36%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동아에스티의 평균 목표주가는 129,700원이다. 현재 주가는 95,000원으로 34,700원(36%)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KTB투자증권의 이혜린 에널리스트가 " 4Q 실적 최악, ETC 턴어라운드 하반기 기대, …"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120,000원을 제시했고, 유진투자증권의 곽진희 에널리스트가 " 2016년, 실적은 아쉬웠고 R&D는 기념비적이었던 해, …"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145,000원을 제시했다.

2월10일에 동아에스티 4/4분기(2016년10월~12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4/4분기 1,243.0억 -64.0억 67.0억
직전분기 대비 8.9% 감소 적자반전 흑자전환
전년동기 대비 13.9% 감소 적자반전 58.7% 감소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5.66%로 업종평균 수준.PER은 43.28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1.3임.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동아에스티는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이 가장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은 상대적으로 적정한 수준를 유지하고 있다.
동아에스티 한올바이오파마 부광약품 JW중외제약 일양약품
ROE 3.0 -2.0 10.4 -6.8 8.3
PER 43.3 - 37.6 - 41.5
PBR 1.3 6.3 3.9 3.2 3.5
기준년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외국인/개인 순매수, 기관은 순매도(한달누적)
2월13일부터 전일까지 외국인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기세를 이어가며 48,210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매수반전의 모습을 보이며 5,230주를 순매수했다. 하지만 기관은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53,440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38%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동아에스티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38%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37%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22.2%, 외국인 23.32%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54.47%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23.32%를 보였으며 기관은 22.2%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55.29%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24.38%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20.31%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투심 약세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보통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 상승추세를 유지하기 위한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주요 매물구간인 89,8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아래로 89,8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89,800원대는 전체 거래의 19.2%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향후 주가가 조정받을때 수급적인 강력한 지지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104,5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는 있지만, 위로 제2매물대 저항구간인 104,500원대까지는 아직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고, 아래로 제1매물대 지지대인 89,800원이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제2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89,800원대의 지지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재위치에서 매물부담을 고려해보면, 89,800원대의 지지가능성과 104,500원대의 저항가능성을 중심으로 보는 것이 필요하다.


[포인트검색]
2월9일 :동아에스티(주)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월7일 :동아에스티(주) 결산실적공시 예고(안내공시)
2월2일 :동아에스티(주)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