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컨트롤타워 미래전략실 해체로 그룹이 주도했던 투자나 채용, 사회공헌 활동에서도 변화가 예상된다. 미래전략실에서 통합해 관리하던 업무가 각 계열사로 이관되면서 채용과 여러 투자, 사회공헌 활동 규모와 내용은 각 계열사가 결정한다.
그룹차원에서 하던 정부나 사회단체 등과의 교감은 현저히 줄어들 전망이다. 이와 맞물려 투자나 고용, 사회공헌 활동 비용 집행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그동안 대기업 투자와 고용은 국가 경제도 반영돼 왔다. 삼성은 `재계 1위`라는 이름표를 감안해 투자 규모와 고용도 일정 부분 정부와 교감해 왔다.
앞으로는 계열사가 모는 것을 결정한다. 대관 업무가 오해를 살 수 있는 만큼 정부와의 조율은 크게 약해질 수밖에 없다. 삼성은 공식적으로 대관 업무를 없애기로 했다.
더구나 삼성이 새로운 방식을 도입할 경우, 다른 재계로도 이 같은 분위기가 확산될 수 있다.
대기업 한 관계자는 “그동안 주요 대기업이 정부와 한 해 투자 규모나 인력 채용 등을 조율하며 꼭 필요한 부분 이 외에 역할을 맡아왔던 것이 사실”이라며 “삼성 변화가 분명히 다른 대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 인재채용 방식도 변한다. 그동안 미전실 인사팀이 그룹 차원의 신입 공개채용(공채)을 주관했다. 계열사 수요를 따진 후 재계에서의 역할 등을 정부와 교감해 전체 고용 인원을 정해왔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계열사 독자 판단 영역이다. 이른바 `재계 1위 값`이란 게 약해질 수 있다. 각 계열사는 자기 성과를 목표로 고용과 투자를 재단할 가능성이 높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 이름으로 공개채용을 실시한 경우 국내 채용 상황 등을 고려해 선발인원을 조정하기도 했지만 계열사로 이관될 경우 상황은 달라진다”면서 “효율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기업 특성을 고려한다면 지금보다는 채용인원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