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의료진이 `베스트보드`로 환자의 현황을 살피면서 진료 계획을 세우고 있다.(자료: 전자신문 DB)](https://img.etnews.com/photonews/1703/932668_20170314153420_303_0001.jpg)
정부가 병원, 약국 등 의료정보화 현황을 국가승인통계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매년 현황을 파악해 심화된 의료기관 간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산업 발전 전략 수립 근거로 활용한다.
14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9월경 통계청에 의료정보화 현황을 국가승인통계로 신청한다. 통계청 승인을 받으면 내년부터 의료정보화 현황이 매년 혹은 2년에 한 번씩 조사된다. 병원, 의원, 약국,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 △의료 정보 보관·운영 △진료정보교류 △개인정보보호 등 전반적인 정보화 수준과 실태를 파악한다.
의료정보화 현황은 2015년 보건산업진흥원이 `진료정보교류 기반 구축 사업`을 진행하면서 조사한 게 마지막이다. 이전에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민간 기업에서 단발성으로 이뤄진 적은 있지만 주체가 달라 결과가 제각각이다. 연속성이 없고 유의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3/932668_20170314153420_303_0002.jpg)
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의료정보화 현황 조사를 착수한다. 국가승인통계로 신청, 매년 주기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는 “ICT 기술은 급변하는데 의료정보화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며 “기술에 따른 정보화 수준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정부 정책 결정, 기업 의사 결정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가승인통계는 중앙행정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통계법 제15조에 의거해 통계 작성 기관에서 작성한다. 데이터에 대한 공신력은 물론 체계적 운영·관리가 가능하다.
![의료기관별 정보화 현황](https://img.etnews.com/photonews/1703/932668_20170314153420_303_0003.jpg)
정부 정책을 마련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한다. 의료기관 간 정보화 격차는 심화된다. 2015년 기준 전자 의무기록 도입률은 상급종합병원이 90%인 반면 의원은 35%에 불과했다. 정보 전담 부서 역시 상급종합병원은 100%였지만 의원은 10%가 안 됐다.
산업 육성 자료로 활용한다. 의료기관 간 각종 의료 정보를 교류해 환자 진단과 질병 치료 연구가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병원 간 의료 정보화 현황을 파악하면 교류 플랫폼 구축에 도움이 된다. 의료기관 정보 시스템 현황을 공개, 기업 사업 계획 수립 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
장기적으로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의료 분야에서도 관심이 높아진 ICT 기술 도입을 활성화하는 근거가 된다.
보건산업진흥원 관계자는 “현황 조사는 의료 ICT 경쟁력을 확보하는 정책적 출발점”이라며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최신 ICT 역량이나 현황도 통계에 포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