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투자뉴스]삼성전자_관련종목들 사이에서 변동성 낮아도 수익률은 높아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관련종목들 사이에서 변동성 낮아도 수익률은 높아

14일 오후 2시55분 현재 전일대비 1.97% 오른 2,070,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지난 1개월간 7.92% 상승했다. 동기간 동안에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표준편차는 1.2%를 기록했다. 이는 전기전자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삼성전자의 월간 주가수익률은 상당히 높았던 반면에 변동성은 가장 낮았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6.6을 기록했는데, 가장 낮은 변동성을 보여주면서 위험대비 수익률은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뿐만아니라 전기전자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인 6.1보다도 높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좋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삼성전자가 속해 있는 전기전자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높은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동업종에 탄력이 붙으면서 지수대비 초과상승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SK하이닉스 2.7% 1.2% 0.4
LG전자 2.2% 9.8% 4.4
삼성SDI 1.8% 7.6% 4.2
LG디스플레이 1.6% -2.7% -1.7
삼성전자 1.2% 7.9% 6.6
코스피 0.4% 2.7% 6.7
전기전자 1.1% 6.8% 6.1

관련종목들 상승 우위, 전기전자업종 +1.58%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상승이 우세한 가운데 전기전자업종은 1.58% 상승중이다.
LG디스플레이
28,350원
▲350(+1.25%)
LG전자
67,300원
▲2000(+3.06%)
삼성SDI
134,500원
▲3500(+2.67%)
SK하이닉스
50,600원
▼400(-0.78%)

증권사 목표주가 2,373,300원, 현재주가 대비 14%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삼성전자의 평균 목표주가는 2,373,300원이다. 현재 주가는 2,070,000원으로 303,300원(14%)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HMC투자증권의 노근창 에널리스트가 " 새로운 성장 동력이 장착되고 있다, Harman의 영업이익 기여도는 전사에 미치는 비중은 작지만 향후 삼성 반도체와 삼성디스플레이의 Captive 내부 거래선 확보와 내부 부품 조달에 따른 Infotainment 제품의 수익성 개선 관점에서 긍정적…"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2,470,000원을 제시했고, 대신증권의 김경민, 박강호 에널리스트가 " 듬직한 반도체, 흐뭇한 비수기, 1Q17 영업이익 추정치를 9,272십억원으로 예상, 종전 추정치(8,976십억원) 및 컨센서스(8,875십억원)을 뛰어넘을 전망. 반도체 사업부문 실적이 빼어나기 때문이다. 1분기는 동사의 전통적 비수기에 해당되지만, 영업이익(9,272십억원)은 사상 최초로 9조원대를 달성할 가시성이 높아졌다…"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2,380,000원을 제시했다.

2월2일에 삼성전자 4/4분기(2016년10월~12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4/4분기 53조3317.0억 9조2208.0억 7조0880.0억
직전분기 대비 11.5% 증가 77.3% 증가 56.2% 증가
전년동기 대비 0.0% 증가 50.1% 증가 119.9% 증가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12.96%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14.16으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1.49임.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삼성전자는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은 가장 낮은 수준이지만,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삼성SDI LG디스플레이
ROE 10.5 1.9 10.0 -0.3 0.8
PER 14.2 40.6 16.8 - 107.6
PBR 1.5 0.8 1.7 0.8 0.8
기준년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기관이 2일연속 주식을 팔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2일연속 주식을 사고 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35,787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40,306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76,093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16%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삼성전자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16%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31%를 나타내고 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투심과 거래량은 보통, 현재주가는 강세
최근 주가변화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현주가는 하락폭보다 상승폭이 우월한 강세패턴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을 활용한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뚜렷한 심리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을 이루는 전형적인 상승국면에 있다.

주요매물대는 1,639,000원 근방에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아래로 1,639,0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1,639,000원대는 전체 거래의 19.5%선으로 가격대에서 뚜렷하게 크게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거래규모가 큰 구간이 되고 향후 주가가 조정받을때 수급적인 강력한 지지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1,800,0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조정시에 지지매물대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상승을 전개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2매물대인 1,800,000원대의 지지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아직은 제2매물가격대까지는 거리가 꽤 남아있고, 당분간 물량적인 부담이 없기 때문에 추가상승시에 큰 걸림돌은 없을듯 하고, 1,800,000원대의 지지대 역할은 좀더 기다릴 필요가 있다.


[포인트검색]
3월13일 :삼성전자(주) (정정)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3월13일 :삼성전자(주) (정정)유상증자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3월9일 :삼성전자(주) 신탁업자의 의결권 행사 및 불행사
3월8일 :삼성전자(주) 중간(분기)배당을 위한 주주명부폐쇄(기준일) 결정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