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생명윤리 방향 모색

보건복지부는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따라 생명윤리 과제를 발굴하기 위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협의체는 유전체 기술, 인공지능(AI) 등 미래기술에 대한 사회·윤리적 이슈를 검토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이윤성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장과 김강립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을 공동 위원장으로, 분야별 전문가 17명으로 구성됐다.

4월부터 배아대상 유전자가위기술 적용 등 유전자 치료연구 활성화를 위한 합리적 규정, 개선 방안을 검토한다. 세 부모 아이, 인공배아생성 등 생식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융합 연구에 대한 윤리적 이슈를 발굴한다. 이종장기 이식, 키메라 연구, 수부·안면이식 등 새로운 장기 이식 연구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도를 논의한다. AI 기술이 의료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과 생명윤리법 재검토 등도 추진한다.

정진엽 복지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따라 사회·윤리적 이슈를 선제 대응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하다”라며 “미래기술 개발과 윤리적 측면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협의체에서 합리적인 개선방안과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 달라”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