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통합 연구회 첫 3년…현장 평가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우리나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관리 체계 사상 처음 시도된 통합 연구회다. 1999년 3개 연구회 출범 이후 15년가량 다른 관리 체계에 있던 출연연이 한 울타리에 모였다.

통합 연구회 체계 3년을 겪은 연구 현장에선 융합 방법과 방향, 연구회 역할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맹목적 융합은 경계하고 연구회의 정책 제언 역량을 강화하자는 목소리가 높다.

양수석 출연연연구발전협의회총연합회(연총) 회장은 사견을 전제로 25개 출연연의 통합 시너지가 크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맹목적 융합을 지양하고 연구 과제 중심의 융합 체계를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양 회장은 “25개 출연연의 스펙트럼이 너무 넓다 보니 각각의 특성을 NST가 다 소화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진정한 융합을 위해서는 에너지, 기초 등 거대 과학을 분야별로 묶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융합은 과제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무조건 하나로 합쳐서 융합하자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

NST가 정책 제언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도 많다. 지금처럼 중앙 부처 정책을 일방으로 하달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NST 위상과 권한 강화가 필요한 부분이다.

신명호 전국공공연구노조 정책위원장은 “NST가 연구 현장 의견을 모아서 기획재정부나 미래창조과학부에 제안해야 하지만 정책으로는 멀리 봐야 할 일을 못했다”면서 “그러면서도 중앙 부처에서 내려오는 일은 즉각 출연연으로 전달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구회를 하나로 합쳐서 출연연 간 교류, 융합 연구가 활성화된 것은 잘한 일이지만 연구개발(R&D) 펀딩 에이전시 역량은 부족했다”면서 “통합 연구회의 역량을 강화하되 출연연에 대한 고유 사업, 융합 연구 펀딩 에이전시 역할을 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새 정부의 조직 개편이 단행되면 NST에까지 변화의 바람이 일지 관심을 끌고 있다. 이상천 초대 이사장의 임기가 다음 달 말에 만료된다. 신임 이사장 공모는 새 정부의 내각 구성과 시기가 맞물리는 7월께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양 회장은 “새 정부의 중앙 부처 형태가 확정된 후에 연구회를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과 재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출연연의 임무 재정립, 융합 방향 설정을 차근히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