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넥티드카 서비스 개념도](https://img.etnews.com/photonews/1705/957678_20170528143141_262_0001.jpg)
미래 자동차로 주목받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서비스 확산을 막는 자동차 관련 규제 재검토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은 28일 '커넥티드카 서비스의 확산과 발전 전략' 보고서에서 커넥티드카 규제를 개선해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빅데이터, 운전 중 영상 관련 규제 등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커넥티드카 시장 선점을 위해 차량용 모바일플랫폼과 OS(Operation System),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 등 기술계층별 산업 환경에 맞는 정책적 지원도 요구됐다.
인도 리서치 컨설팅사 TMR에 따르면 커넥티드카 관련 시장 규모는 지난해 46조원에서 2019년 112조원까지 성장할 정도로 잠재력이 매우 높다. 산업연구원은 운전자 성향을 기반으로 한 보험서비스, 스마트교통 등 커넥티드카 서비스로 상용화될 기술은 앞으로도 무한하다고 강조했다.
커넥티드카는 모바일 서비스가 적용될 차세대 디바이스로 부상했다. 이동통신 모듈을 장착해 인터넷에 연결한 자동차다. 자동차와 유·무선 통신기반 인프라가 핵심 구성요소다. 모바일 서비스 영역이 자동차로 확장되면서 기존 모바일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가 등장했다.
산업연구원은 과거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휴대폰 하드웨어 기술보다 소프트웨어 표준의 중요성이 더 커진 것처럼 커넥티드카 시장도 기술 표준 경쟁력이 시장 지배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IT기업이 자동차기업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해 기술계층별로 기술 개발과 표준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승민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커넥티드카 서비스 확산을 막는 자동차 관련 규제 재검토와 완화가 필요하다”면서 “유관 서비스기업 창업 지원, 관련 법·제도 정비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