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민간이 운영하는 공유자전거 모델 도입키로

자전거 역.
자전거 역.

민간사업자가 시설투자부터 관리운영까지 책임지는 민영 공유자전거 정책이 처음으로 수원에서 선보인다. 중국 민영자전거 공유 모델을 본 뜬 서비스다.

수원시는 다음달부터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공유자전거 시스템을 '민간사업자 운영방식'으로 도입한다고 13일 밝혔다. 자전거에 위치측정시스템(GPS)을 달아 스마트폰 앱으로 작동되는 방식이다. 자동 잠금장치가 내장돼 도킹 스테이션이 필요 없는 것이 장점이다. 그간 공영 공유자전거는 분실 방지를 위해 자전거 거치대와 결제시스템을 갖춘 도킹스테이션을 갖춰야 했다.

이용자 입장에서도 눈에 띄는 자전거를 곧바로 이용하거나 스마트폰 앱으로 주변 자전거를 검색해 찾은 다음, 자전거에 부착된 바코드를 스캔해 무선통신으로 잠금을 해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한 뒤에는 시내 곳곳에 마련된 노면 표시 주차공간에 자전거를 반납하면 된다.

중국에서는 모바이크라는 민간 회사가 이 같은 방식으로 상하이를 비롯한 주요 도시에 495만대 공유자전거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투입해 설치부터 운영까지 도맡아 재정 부담이 큰 실정이다.

경기도의 경우 현재 안산시, 고양시, 시흥시, 이천시, 과천시, 부천시에서 공공자전거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나 안산시의 경우 자전거 1대당 구입가격이 55만원으로 도킹스테이션 등 최초설치비용만 35억원, 연평균 운영비만 19억원이 들어간다. 6개시의 연평균 운영비만 50억원에 달한다.

수원시는 당초 시 재정사업으로 설비투자와 관리운영까지 도맡으려던 공공자전거추진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공유자전거시스템으로 전환하게 됐다. 수원시는 이 같은 정책 전환으로 공공자전거 3000대 기준 초기시설 구축비 57억원과 연간 운영비 17억원 등 모두 74억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민간사업자로부터 공급 대수에 따른 자전거 주차료까지 받게 된다.

민영 공유자전거로의 정책 전환을 제안한 양근서 제3연정위원장은 “수원시가 처음으로 채택한 공유자전거 모델이 예산 절감은 물론 자전거 문화 확산 및 이용 활성화에도 큰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민 성장기업부(판교)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