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06/963204_20170613155047_948_0001.jpg)
우리나라 일자리 가운데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8.9%에 달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비중보다 크게 낮아 공공부문 일자리를 계속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공공부문 일자리는 233만6000개로 총 취업자수 대비 8.9%를 차지했다.
공공부문 일자리 233만6000개는 일반정부 199만개, 공기업 34만6000개로 구성됐다. 총 취업자수 대비 각각 7.6%, 1.3% 비중을 차지했다. 일반정부 일자리 중 중앙정부는 74만9000개(32.1%), 지방정부는 121만4000개(52.0%), 사회보장기금은 2만6000개(1.1%)다.
우리나라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 8.9%는 OECD 국가 평균 공공부문 일자리 비중(21.7%, 2013년 기준)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려서 고용 문제를 해결한다는 문재인 정부 정책이 설득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공공부문 일자리가 안정적이라는 사실도 통계로 증명됐다.
공공부문 일자리 중 2014년과 2015년 동일한 근로자에 의해 점유된 '지속일자리'는 201만7000개(86.3%)다. 반면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됐거나 일자리가 새로 생겨 신규 채용된 일자리는 31만9000개(13.7%)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비공공부문의 지속일자리는 65.2%, 신규 채용 일자리는 34.8%”라고 설명했다.
특히 공무원의 지속일자리 비중은 92.7%, 비공무원의 지속일자리 비중은 72.0%라 공무원의 직업 안정성이 공기업 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중 62.2%는 10년 이상 근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비공무원의 70.3%는 근속기간이 3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 일자리 가운데 근속기간이 3년 미만인 비중은 32.2%, 2년 미만 비중은 27.5%에 달했다. 공공부문에 비정규직이 여전히 적지 않다는 의미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자는 근속기간이 20년 이상(28.3%)이 가장 많고, 여자는 3년 미만(38.4%)이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공무원, 비공무원 모두 40대가 가장 많았다. 공무원은 40대, 30대, 50대, 29세 이하, 60세 이상 순으로 많았다. 비공무원은 40대, 50대, 30대, 60세 이상, 29세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공공부문 일자리 통계는 공공부문 일자리 추세 분석, 공공부문 정책 수립·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 신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공공부문 일자리 규모 및 증감(자료:통계청, 단위:1000개, %, %P)>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