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KT스카이라이프, 초고속재판매 시장 변화는

[해설]KT스카이라이프, 초고속재판매 시장 변화는

KT스카이라이프의 KT초고속인터넷 재판매와 결합상품 출시는 유료방송 시장 비교열위를 극복하기 위한 포석이다.

위성방송이라는 단일 상품 한계를 넘고 위성방송과 초고속인터넷을 묶은 유료방송 결합상품으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초고속인터넷 시장은 가입자 2000만명을 돌파한 사실상 포화 상태다. 1인 가구 증가로 가입자가 줄지 않지만 신규 고객 확보가 쉽지 않은 상태다. 그럼에도 KT스카이라이프가 KT 초고속인터넷 재판매에 나선 건 결합상품 판매로 가입자와 수익을 늘리기 위해서다.

결합상품은 한정된 시장에서 기존 가입자 이탈을 막고 신규 가입자를 유치할 수 있는 필수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결합상품을 통한 시장지배력 전이 논란이 그치지 않는 것은 경쟁이 그만큼 치열하기 때문이다.

◇결합상품으로 점유율 확대

KT스카이라이프는 위성방송을 제공하지만 초고속인터넷과 이동통신 서비스 부재로 결합상품 판매가 불가능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객은 유료방송 가입의 가장 중요한 이유로 '다른 서비스와 결합혜택'을 꼽는 등 결합상품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KT와 KT스카이라이프는 IPTV와 위성방송을 접목한 '올레TV스카이라이프(OTS)'를 팔고 있지만 KT스카이라이프는 위성방송을 제공하는 구조다.

초고속인터넷 재판매는 도매대가를 지불하고 KT 망을 임대, KT스카이라이프가 판매한다. 망만 임대할 뿐 서비스, 판매, 설치, 고객상담, 청구·수납, 고객관리까지 KT스카이라이프가 책임진다. 결합상품을 비롯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당장 위성방송+초고속인터넷 결합상품을 개발해 판매할 수 있게 됐다. 결합 할인을 적용, 고객 이탈을 막고 신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 시장 1위인 KT 초고속인터넷 전국망을 활용, 산간 지역 등 위성방송 음영 지역을 접시 없는 위성방송(DCS) 등으로 커버할 수 있다. KT는 인터넷 망 도매대가로 수익을 올리게 된다. 양사 이해타산이 맞아 떨어졌다.

[해설]KT스카이라이프, 초고속재판매 시장 변화는

◇전망은 엇갈려

유료방송 사업자 반응은 엇갈린다. 초고속인터넷을 재판매하더라도 KT스카이라이프의 규모 등을 볼 때 시장 파급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IPTV 관계자는 “이미 결합상품으로 고착화된 시장에 균열을 낼 정도로 KT스카이라이프가 경쟁력을 가질지는 미지수”이라며 “이미 많은 이용자가 KT 초고속인터넷을 쓰고 있다는 점 역시 재판매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의 이유”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KT스카이라이프가 KT보다 유통망이 작기 때문에 상품 구성을 늘리거나 이미지 제고 차원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새로운 상품에 도전하는 의미 수준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KT 유선 경쟁력이 KT스카이라이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2016 통신시장 경쟁상황평가'에 따르면 KT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점유율은 47.7%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통신사 관계자는 “KT스카이라이프가 전국 KT초고속인터넷망을 활용해 위성방송 가입자를 늘려나가면 경쟁 유료방송 사업자에겐 위협이 될 것”이라며 “KT 유선시장 지배력이 방송으로 전이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해설]KT스카이라이프, 초고속재판매 시장 변화는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김지혜 기자 jihy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