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4박 6일간 8개국 정상과 양자회담, 2개 국제기구 수장과 단독 면담을 가졌다. 독일·프랑스·중국·일본·인도·베트남·호주·캐나다 정상,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유엔 사무총장 등 모두 10명의 정상급 인사와 테이블에 앉았다.
10차례 양자 회담은 북한 규탄과 제제 강화에 대한 공조, 한반도 평화정착을 최우선하는 외교정책과 신산업 분야 경제 협력 강화가 골자였다. 대부분의 정상이 북한 미사일 도발의 강한 제재에 동의했다. 북한이 대화 무대에 나설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문 대통령의 대북 문제 해결에 대한 국제적 지지도 얻었다. 그동안 국내에서 제기됐던 안보 경시 논란을 잠재우는 성과를 거뒀다.
중국과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와 일본 위안부 문제 관련해서는 각국의 이견을 확인하는 수준에서 그쳤다. 엉킨 실타래를 풀지 못하고 여전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겼다. 한·미·일 3국의 안보강화 협력으로 중국과 러시아의 보이지 않는 반발을 샀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현지시간) 공식 브리핑을 통해 “G20 성과를 꼽자면 (문 대통령이) 각국 정상에게 북한 미사일 발사의 강력한 규탄과 제재·압력과 함께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넓힌 점”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미사일 도발 규탄과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다. 메르켈 총리가 이례적으로 의장국 권한으로 기자회견을 열어 북한 문제를 별도로 거론하게 했다.
문 대통령은 연쇄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 4강 외교를 복원하고 '외교 다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8개국 양자 정상회담에서 상당 부분 북한 미사일 문제를 논의했지만 경제협력 얘기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면서 안보와 경제분야 명분과 실리를 모두 챙긴 외교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응웬 쑤언 푹 베트남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기업 간의 투자확대, 일부 도시간 직항비행노선 개설, 이주여성 보호문제 등을 심도 있게 다뤘다. 베트남의 부품·소재 산업 육성 등에도 함께하기로 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에서도 일자리 창출과 성장동력 확충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창업기업 육성, 신산업, 우주, 방산, 원자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순방에는 김 부총리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보좌진으로 문 대통령을 밀착 지원했다. 청와대 측은 “문 대통령이 독일 방문에서 다양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김 경제부총리와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모든 회담에 배석해 문 대통령을 잘 보좌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회담을 계기로 '좌경화·우동현'이라는 별칭을 얻게 됐다”고 전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