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달 방미 기간에 일부 대기업 총수와 환담하면서 “기업하는 분들을 가장 먼저 뵙고 싶었는데 경제팀 인선이 늦어져서 이제야 뵙게 됐다”면서 “돌아가면 다시 제대로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친기업 대통령'을 자임,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날 문 대통령이 언급한 경제계 회동이 이르면 이달 안에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공식 첫 만남에 업계는 '소통 채널'이 열린다는 측면에서 기대가 크다. 15대 그룹사가 참석 예정인 이 자리에서 큰 그림이 논의되고, 직후 대기업 경영·투자 전략이 구체화돼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기업은 국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어느 때보다 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의 고민은 고유 사업보다 국제 정세와 외교·안보, 정치성 이슈가 더 크게 작용한다.
대기업 전략은 중소·중견기업에는 사업 방향을 잡는 이정표가 돼 왔다. 대기업 협력업체는 당연하고 거래 관계없이 독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도 간접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대기업이 책정한 각종 내부 계획 및 지표는 중소기업으로서는 1분 1초라도 먼저 알고 싶어 하는 귀중한 정보다. 하반기로 들어서면서 경제·산업계의 관심이 대기업에 쏠리는 이유다.
청와대는 대기업 간담회 이후 중견·중소·벤처업계와 대통령의 만남도 서두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업계의 관심 또한 큰 틀에서는 국내외 불확실성 해소와 기업하기 좋은 환경에 있다. 대기업과 상충되는 사안도 있겠지만 협력과 공존 방식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과 중견·중소·벤처 등 기업 형태는 어느 국가든 공존한다. 국가별로 차지하는 비중과 규모, 협력 방식과 경쟁 구도, 육성 정책 등이 다를 뿐이다. 모두가 국가를 떠받치고 있는 경제 주체다. 강하고 창의력 있는 중견·중소·벤처기업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대기업이 조화를 이뤄야 균형 잡힌 국가 산업 생태계를 확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