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중국 소형 무인기(드론)의 자국 영공에 침범할 경우를 대비해 해상보안청 순시선에 전파방해장치를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산케이신문이 31일 보도했다.
![일본 해상 자위대 출격 모습. 일본 정부는 중국 소형 무인기(드론)의 자국 영공에 침범할 경우를 대비해 해상보안청 순시선에 전파방해장치를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https://img.etnews.com/photonews/1708/980279_20170801111918_568_0001.jpg)
일본 정부가 이 같은 방안 마련에 나선 것은 지난 5월 중일간 영유권 분쟁지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주변 해역에서 중국 해경국 선박이 진입한 뒤 드론으로 추정되는 비행물체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센카쿠 주변에서 드론 추정 물체의 비행이 확인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당시 일본 자위대는 드론 추정 물체 1대를 추적하기 위해 F15 등의 전투기 4대를 긴급발진 시켰다. 해상보안청은 드론 추정 비행물체의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지만, 전투기 레이더에는 드론의 모습이 잡히지 않았으며 조종사의 육안으로도 확인되지 않는 등 전투기의 드론 대응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다.
일본 정부는 새로운 드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드론이 전파로 원격조종된다는 점에 착안, 전파의 흐름을 방해해 드론 비행을 막는 방법이다. 또 그동안 항공자위대가 전담해온 대(對)영공 침범 조치를 해상보안청이 보완할 수 있도록 법률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케이는 “해상보안청 순시선은 센카쿠 열도 주변을 항해하는 중국 해경선을 상시 감시하는 만큼 순시선에 전파방해장치를 도입하면 드론 비행시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