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자율주행차 개발 위한 'V2X' 인프라 구축 완료

현대·기아차가 자율주행 핵심 기술인 '차량과 사물 간 통신(V2X·Vehicle to Everything) 시스템'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기아차는 경기 화성 약 14㎞ 구간에 V2X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V2X 서비스 검증과 연구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현대·기아차가 경기 화성 약 14km 구간에 V2X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대·기아차가 경기 화성 약 14km 구간에 V2X 인프라를 구축했다.

V2X란 차량과 인프라(V2I·Vehicle to Infra), 차량과 차량(V2V·Vehicle to Vehicle), 차량과 보행자(V2P·Vehicle to Pedestrian) 등 차량을 중심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교통·도로 상황·차량·보행자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기술이다.

V2X 시스템은 자율주행차 주요 기술인 레이다, 센서, 카메라 기능을 한층 보완해 360° 주변 인식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완벽한 자율주행 기술을 구현한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말 화성시와 업무협약을 통해 V2X 시스템을 실제 도로에 구현하고 검증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현대〃기아차는 남양연구소-화성시청-비봉IC 구간 총 7개 교차로에 차량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지국, 보행자 감지를 위한 CCTV 카메라, 교통신호 제어기 등 다양한 V2X 인프라 장비를 설치했다.

50여대의 시험차량은 해당 구간을 운행하면서 V2V 서비스와 V2I 서비스를 집중 검증한다. V2V 정보 서비스 연구는 교차로 통과 시 주변 차량과 충돌 예상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교차로 주변 차량 정보 서비스'와 전방 차량의 급제동 충돌 가능성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전방 차량 급제동 정보 서비스'로 구성된다.

현대·기아차가 본격적인 V2X 서비스 검증과 연구를 시작한다.
현대·기아차가 본격적인 V2X 서비스 검증과 연구를 시작한다.

V2I 서비스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와 충돌 위험을 운전자에게 사전에 경고하는 '보행자 정보 서비스', 현재 신호와 잔여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교차로 교통신호 정보 서비스', 신호 잔여 시간과 차량 속도를 분석해 교차로 신호위반 가능성을 경고하는 '신호위반 경고 정보 서비스', 전방 공사구간 위치와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공사구간 경고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다.

V2X 통신을 위해서는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 환경에서 안정적인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웨이브(WAVE) 기술을 사용한다. 시험 차량은 V2X 전용 모니터와 HUD, 클러스터, 내비게이션을 통해 운전자에게 각종 이미지와 경고음 형태로 경고와 안내 메시지를 전달한다.

V2X 연구는 시스템에 대한 실질적인 검증은 물론 운전자 반응 분석, 다양한 시나리오 검증을 통해 상품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대·기아차는 연말까지 얻어진 다양한 분석 결과와 운전자 의견을 취합해 V2X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방침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폭설과 안개 등 기상 악화 상황에서 센서만으로 작동하는 자율주행 시스템은 한계가 있다”면서 “완벽한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V2X 적용이 필수”라고 말했다.

정치연 자동차 전문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