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투자뉴스]NAVER_투심 약세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보통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위험대비수익률 -3.4로 하위권,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아

31일 오전 9시40분 현재 전일대비 1.42% 하락하면서 763,000원을 기록하고 있는 NAVER는 지난 1개월간 4.15% 하락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1.2%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NAVER의 월간 변동성이 가장 작았던 만큼 주가하락률도 주요종목군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NAVER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3.4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은 가장 낮았지만 주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저조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코스피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5보다는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NAVER가 속해 있는 코스피업종은 서비스업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넷마블게임즈 3.1% 6.4% 2.0
카카오 1.5% 4.2% 2.8
엔씨소프트 1.4% 3.1% 2.2
삼성에스디에스 1.3% -4.8% -3.6
NAVER 1.2% -4.2% -3.4
서비스업 0.6% -1.6% -2.6
코스피 0.7% -2.1% -3.5

관련종목들도 하락 우위, 서비스업업종 -0.65%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 중에서는 하락종목 수가 더 많은 가운데 서비스업업종은 0.65% 하락하고 있다.
엔씨소프트
378,000원
▼2500(-0.66%)
넷마블게임즈
150,500원
▼2000(-1.31%)
카카오
123,000원
▲1000(+0.82%)
삼성에스디에스
168,500원
▼1000(-0.59%)

증권사 목표주가 1,036,600원, 현재주가 대비 35%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NAVER의 평균 목표주가는 1,036,600원이다. 현재 주가는 763,000원으로 273,600원(35%)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 투자의견을 보면 삼성증권의 오동환 에널리스트가 " 투자 사이클 종료를 기다리며, 과거 네이버가 2014년~2015년 투자의 시기와 2016년의 수확의 시기를 반복했던 것처럼 올해는 투자가 지속되는 시점. 시기의 불확실성은 있으나, 투자 사이클이 끝나고 수확의 기간이 도래하면 회사의 실적과 주가는 빠른 회복이 가능할 전망…"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에 목표주가: 1,000,000원을 제시했다.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27.26%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31.86으로 업종평균보다 높으며, PBR은 5.18로 다소 높은편.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NAVER가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NAVER 삼성에스디에스 엔씨소프트 카카오 넷마블게임즈
ROE 16.3 8.7 10.1 2.7 -
PER 31.9 28.1 37.5 64.7 -
PBR 5.2 2.4 3.8 1.8 2.9
기준년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2017년6월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전일 외국인이 3,977주를 사들인 반면 기관은 15,754주를 팔았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기관이 초반에 동종목을 순매수한 이후에 최근에는 순매수량이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730주를 순매수했고, 개인들도 매기를 떨어뜨리면서도 36,079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그 동안 외국인은 매도 후 매수의 관점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56,809주를 순매도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8%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NAVER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28%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1.61%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24.63%, 외국인 65.11%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65.11%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기관이 24.63%를 보였으며 개인은 10.25%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투심 약세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보통
최근 주가변화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현주가는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고, 거래량을 활용한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주가흐름과 같이 투자심리도 위축되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약세국면에 머물러 있다.

매물대 저항은 836,000원 근방에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 위로 836,0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836,000원대는 전체 거래의 20.8%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향후 주가가 상승할때 수급적인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774,0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크기때문에 향후 주가가 방향을 잡으면 어느쪽으로도 지지 또는 저항매물대로 힘을 발휘할 수있다. 따라서 주가가 단기적인 조정을 받고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제1매물대인 774,000원대의 저항가능성에 보다 더 큰 비중을 두는 시각이 합리적이고, 제2매물가격대에 주가가 지금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774,000원대의 저항여부를 우선해서 세밀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