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업계가 연구개발(R&D) 인력난으로 신음하고 있다. 로봇 산업 육성을 위한 인력 수급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로봇 분야 중소기업인 A기업은 핵심 인력 지키기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로봇 분야의 숙련된 R&D 일손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전체 인력 가운데 10% 이내인 핵심 인력 한 명만 이탈해도 타격이 크다.
이 기업 관계자는 “인력 이탈 방지를 위해 전사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대우가 대기업만큼 따라갈 수는 없다”면서 “연구 인력이 대기업으로 이직하더라도 이를 막을 수 없는 상황이어서 의리에 기댈 뿐”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로봇업계의 인력난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21년까지 전문대졸 이상 전문 인력이 9268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대졸 이상 고급 전문 인력은 8019명이 부족하다. 전체 부족 인력 86.5%가 고급 전문 인력인 셈이다.
로봇 인력 양성 기반도 미약하다. 2015년 기준 대학 로봇 관련 학과는 전문대 7개교로, 전체 138개 대학의 5%에 불과하다. 4년제 대학교에서는 11개교다. 전체 189개 대학 가운데 6%에 불과하다. 대학에서 로봇 전문 인력을 다수 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중소기업이 대다수인 로봇업계는 만성 인력난에 빠져 있다. 로봇 산업은 고도의 기술력이 요하는 만큼 숙련 인재 확보가 관건이다.
현장 분위기는 냉담하다. 뚜렷한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 대학 교육 문제를 떠나 중소·중견기업의 한계를 넘기 어렵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박현섭 KAIST 기계공학과 연구교수는 “로봇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대학 인재가 즉시 전력감으로 쓰이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라면서 “시장 원리에 따라 인재가 대기업에 몰리는 상황을 인위로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진단했다.
로봇 인력 양성과 중소기업 인력 매칭 지원책 확대가 요구되는 이유다.
현행 로봇 인력 양성 정책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 융합 연계형 로봇 창의 인재 양성을 대표로 들 수 있다. 현장 인력 부족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로 로봇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실무 인재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2014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482명이 거쳐 갔다. 그 가운데 171명이 로봇기업에 취직했다. 2018년까지 404명의 취업생 배출이 목표다.
내년도 인력 양성 예산은 올해보다 소폭 감소한다. 내년도 산업부 예산안에 따르면 산업 융합 연계형 로봇 창의 인재 양성 사업에 예산 14억원을 책정했다. 올해보다 4000만원 줄어든 규모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