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역 스타트업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발굴하고 TP가 키운다

중기부 로고
중기부 로고

중소벤처기업부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테크노파크(TP)를 지역 창업 육성 기지로 활용한다. 초기 창업기업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키우고 테크노파크는 이를 바탕으로 시험인증, 제조, 양산 등을 도와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만든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기부는 다음 달 창업활성화대책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TP의 업무분담의 구체적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책 안에는 각 기관 명칭조정뿐 아니라 구체적 연계계획 등이 담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창업 전초기지로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초기 투자 기능을 담당한다. TP는 제품제작, 시험 인증 등 테크노파크가 갖추고 있는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창업 후 보육 기능에 집중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스타트업, 중소기업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키우고 나아가 '월드 클래스 300기업' 등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TP에서 일부 담당했던 투자업무는 창조경제혁신센터로 넘기는 등 육성에만 초점을 맞춘다.

지금까지 창조경제혁신센터와 TP는 각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로 나눠져 있어 업무 연계성이 떨어졌다. 일부 지역 혁신센터가 TP가 손잡은 사례가 있으나 일부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만 진행했다. 그러나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출범과 함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TP 모두 중기부로 모이면서 지역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는 안이 마련됐다.

중기부 관계자는 “과거 서로 다른 부처 안에 있던 스타트업, 중소기업 지원 기관이 중기부 안으로 모이면서 서로 역할조정을 통해 시너지를 내게 됐다”며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금의 업무를 강화하고 TP는 창업전문기관으로 탈바꿈 했다고 보면 이해가 쉽다”고 설명했다.

TP는 지금까지 지역 산·학·연·관 등 지역 혁신기관을 연결해 지연산업 발전을 육성하는 역할을 했다. 2001년 전국 6곳에 설립을 시작해 현재 세종지역산업기획단을 포함해 19개 지역에서 TP를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큰 조직으로 성장했다.

정부 지역 스타트업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발굴하고 TP가 키운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14년 9월을 시작으로 전국 18개 도시를 거점으로 빅데이터, 기계장비, 농수산식품 등 각 지역 특성에 따라 정부, 지방자치단체, 대기업이 상호 협력하는 일대일 전담지원체계로 운영하고 있다. 초기 대기업 강제지원 등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지만 현장에서는 서울을 가지 않고도 정부, 대기업과 연계할 수 있어 높은 호응을 얻는 등 지역 스타트업 지원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미래부, 산업부 등으로 스타트업 지원 기관이 쪼개져 있어 관련 부처 등과 협업해 업무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아직 중기부 장관이 오지않아 스타트업정책 방향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지역 스타트업부터 혁신센터 관계자까지 통합기관에서 나오는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