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과 초연결 사회로 넘어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새로운 생산 양식과 생활 방식이 요구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산업군과 직업군이 바뀌면서 앞선 세 차례 산업혁명보다 더 큰 사회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으로 빚어질 다양한 사회 전반의 변화에 선제 대응한다. △미래 사회 교육 혁신 △일자리 변화 대응 △법 제도〃윤리 정립 등 크게 세 가지 축으로 나눠 대응 작업을 다양하게 전개한다.
위원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융합 인재 양성에 주력한다.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성공리에 대응하려면 무엇보다 우수 인재를 길러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이를 위해 교육 혁신을 가속화한다. 학습자 눈높이에 맞춘 최적화된 교육을 제공, 창의성을 갖추고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하는 다양한 인재를 다수 배출하겠다는 목표다.
문제 해결 및 사고력 중심 교육을 강화하고, 수업 방식 다변화 등을 통한 창의〃융합 교육 저변을 확대한다. 초·중등 소프트웨어(SW) 교육도 강화한다.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소멸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직접 받는 제조업 비중이 높다. 노동시장 유연성도 다소 떨어진다.
위원회는 고용 환경 변화에 맞춰 유망 신산업으로 원활하게 전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고용 형태 다변화에 대비한 사회안전망을 강화, 실직의 두려움을 해소한다. 이를 위해 인력 수급 전망을 고도화하고, 정보통신기술(ICT) 신산업 분야의 직업훈련 등을 강화한다.
지능정보 사회에 맞춰 사회 규범도 재정립한다. 최근 선진국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 '로봇윤리' '데이터윤리' 'AI윤리' 등 기술에 맞춰 세부 윤리 연구와 사회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위원회는 산업계와 국민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기본법 제정에서부터 기술 윤리 헌장 제정 등에 이르기까지 법〃제도 정비와 윤리 정립에 나선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