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청년 과학기술인을 직접 만나 의견을 청취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역, 국가 과학기술의 미래인 청년 과학자 연구 환경을 개선하는 데 만전을 기한다.

유 장관은 16일 서울 화랑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방문해 뇌과학연구소와 로봇미디어연구소를 둘러보고 학생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등 신진 연구자 10여 명과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는 청년 과학기술인 지원 정책을 본격 추진하는 데 앞서 현장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신진 연구자의 고민과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책에 최대한 반영할 계획이다.
문재인 정부는 국가 과학기술 핵심역량인 학생연구원의 연구·근로 환경을 개선한다. 적정 임금 지급, 4대보험 보장 의무화를 국정과제로 선정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7월 이를 위한 추경예산을 확보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학생연구원 중 근로성이 강한 기타연수생의 근로계약 체결을 의무화했다.
학생인건비 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박사후연구원(포스닥) 대상의 과제 기반 테뉴어 제도를 도입한다. 포스닥 고용계약을 연구과제 수행 기간과 연계해 연구 연속성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학생연구원, 포스닥 등 청년 과학기술인이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유 장관은 “과학기술 혁신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연구자 중심의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게 새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방향”이라면서 “청년 과학기술인이 고민 없이 도전하고 마음껏 연구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