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결과' 공동발표는 지난 수개월간 양국 외교·안보라인 물밑 논의의 결과다. 양국은 미국과도 긴밀하게 협의하며 불필요한 오해나 마찰을 피했다.
시작은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첫 정상회담이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관계회복의 시작은) 7월 독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문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이었다”면서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여러 차례 외교 당국 간 교섭을 비롯한 소통이 있었다”고 전했다. 외교·안보라인이 8월부터 본격적으로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해 움직였다는 설명이다.
양국은 기존 외교 방법이 아닌 최고결정권자 간 소통으로 신속히 입장을 조율하는 정치적 타결을 택했다.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사드 문제 해결이 전제조건이라는 인식 하에 서로의 입장을 조율했다.
우리 쪽에서는 여러 부처 현안이 관련된 만큼 외교부가 아닌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이 나섰다. 중국 측은 쿵쉬안유 외교부 부장조리가 대표 창구였다.
양 측은 한·증 갈등의 시발점이었던 사드문제 해결에 집중했다. '제로섬' 형태의 협상은 지양했다. 본격 조율이 시작된 직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남관표 2차장이 수차례 중국을 오가면서 입장을 조율했다.
우리 측은 △협상결과 공개 △한미 동맹에 불필요한 오해 방지 △최종결과물로서의 합의문 도출이라는 목표를 두고 협상에 임했다.
사드 배치와 관련한 이해관계자인 미국과의 입장 조율도 관건이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과도 긴밀히 협의했다”면서 “협상 과정을 중간에 알려주고 동맹 간 불필요한 오해나 마찰이 없도록 주의했다”고 말했다.
두 나라는 사드에 관한 의견 통일은 남겨뒀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드 문제에 관한 중국의 입장은 이 문제가 해결됐다, 인정한다는 차원이 아니다”라며 “표현하자면 사드와 관련해선 양측 간 가진 입장을 있는 대로 표명하고 그 순간 봉인했다고 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사드 문제는 종지부를 짓고, 한·중 관계 미래나 실질 협력에 관해 논의한다는 뜻이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
-
안영국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