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특구본부 기술 탐색 및 매칭 프로그램.](https://img.etnews.com/photonews/1711/1009635_20171103172551_196_0001.jpg)
부산연구개발특구에 입주가 가능한 업종이 2배 가까이 늘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부산연구개발특구본부(본부장 송한욱)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특구 관리계획 변경 고시에 따라 부산특구 내 입주 가능 업종이 기존 24개에서 41개로 대폭 확대됐다고 5일 밝혔다.
부산특구 연구개발(R&D)융합지구는 화학·의료용 물질 제조업, 소프트웨어(SW)·컴퓨터 프로그래밍 개발 및 정보서비스업 등이 추가돼 11개에서 19개로 늘었다.
사업화촉진지구(국제산업물류도시 1단계)는 SW 개발, 지식재산 업종의 추가로 기존 13개에서 22개로 확대됐다.
이번 변경 고시로 전국 5개 특구의 건축물 관리도 간소화된다. 고시 변경 이전에는 특구 내에 신축하는 연면적 5000㎡ 이상 또는 16층 이상의 모든 건물은 설계 심사를 받아야 했지만 변경 후에는 교육·연구 및 사업화 시설 구역, 산업 시설 구역 등은 이 규정에서 제외됐다.
변경된 고시는 5개 특구의 쾌적한 연구·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해 입주 가능 업종의 관리 기준을 구체화하고,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송한욱 부산특구본부장은 “조선해양 플랜트 관련 업종 위주이던 부산특구 입주 가능 업종이 SW를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 지식재산(IP), 신소재 등으로 대폭 늘었다”면서 “특구 내 융합기술 개발 촉진과 기술 사업화 활성화에 기여해 부산특구 전반에 걸쳐 경쟁력을 높여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부산연구개발특구 입주 가능 업종 변경 현황>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