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드라마에서의 대리만족과 감정이입

사진=MBC 제공
사진=MBC 제공

드라마를 보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강하게 감정이입해 시청하는 사람은 두 가지 다른 방법의 대리만족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다. 등장인물처럼 되고 싶다는 마음은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욕구나 판타지를 추구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유이고, 또 하나는 내가 저 사람(등장인물)보다는 괜찮다는 위안을 얻기 위함이기도 하다.

두 번째 이유로 인해 막장 드라마라고 불리는, 욕하면서도 보게 되는 드라마가 꾸준한 시청률을 유지하며 비슷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편성된다. 막장 드라마의 주인공은 사회적 통념을 따르지 않는 행동을 해 비난을 받는데, 시청자는 주인공에 감정이입 돼 주인공이 됨과 동시에 주인공에서 바로 빠져나와 주인공을 비난하는 이중적인 지위를 동시에 얻게 된다.

사진=KBS 제공
사진=KBS 제공

내가 직접 나쁜 행동을 하지는 않지만 등장인물에 감정이입해 억압을 분출하는 대리만족을 해 다른 이유로 억눌렸던 나의 분노를 표출하고 그런 해소로 인해 가벼워진 자기 자신으로 돌아온 뒤, 나는 지금 이렇게 살고 있지만 막장 드라마의 주인공보다는 훨씬 가치 있는 삶을 산다는 위안을 받는 것이다.

스트레스와 분노가 만연하고, 트라우마까지 가지는 않더라도 억눌린 답답함이 일상화 된 현대사회에서 막장 드라마를 보며 분노하는 행동, 운동경기를 시청하며 욕설을 퍼붓는 행동, 인터넷 상에서 자신과 직접 상관이 없는 사람에게 악성 댓글을 다는 행동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영화, 뮤지컬, 연극, 오페라, 창극 등 스토리가 있는 다른 예술 장르보다 드라마를 볼 때 시청자들이 특히 감정이입해 관람하는 이유는, 드라마는 단 한 번의 방송이 아닌 시리즈로 편성되기 때문에 이전 회차의 방송에서의 감정이입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KBS 제공
사진=KBS 제공

대리만족은 자신의 감정을 전이해 동일시하기 때문에 가능한데, 스스로 원하는 것을 시도하기조차 어렵고 실제로 성취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는 시대에 예술 작품을 통한 대리만족, 특히 드라마를 통한 대리만족은 더욱 큰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감정이입을 통한 대리만족이 일상화되고 영향력이 커지면서, 드라마의 스토리 전개에도 이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감정이입을 통한 대리만족의 극대화는 시청률을 높이는 일등공신이기도 하지만,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작가와 연출자의 의도를 변질되는 경우 또한 늘어나고 있다는 부작용을 수반하기도 한다.

사진=KBS 제공
사진=KBS 제공

시청자 참여 드라마, 예능과 결합한 드라마가 최근 인기를 끄는 이유도 대리만족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시청자들이 스토리텔링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는 생각은 실제 여부와는 상관없이 드라마에 몰입하게 되고 자신의 욕구에 대해 대리만족의 기쁨을 느끼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진=SBS 제공
사진=SBS 제공

대리만족이라는 입장에서 볼 때 흥행하는 드라마의 그 당시 사회 구성원의 공통된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드라마가 그 요구를 끌어낸 것일 수도 있고, 그런 요구에 맞춰 드라마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도 있다.

만약 드라마에 감정이입해 몰입하는 사람이라면 내가 어떤 포인트에서 어떤 마음을 공감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자신의 한 부분을 보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나를 대리만족하게 만든 그 무엇은, 나도 모르는 나일 수 있기 때문이다.

천상욱 전자신문엔터테인먼트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