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기준금리 인상에 관심 집중 "추가금리 속도 조절 관전포인트"

30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점쳐지면서 한은의 경기진단 전망, 내년 추가 금리 인상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금통위에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한 1.50%로 결정한 것으로 전망하면서 기준금리 결정의 만장일치 여부와 함께 시중금리 등에 미칠 파장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진다면 2011년 6월(3.00%→3.25%) 이후 6년 5개월 만이다. 이후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하해 지난해 6월 마지막으로 연 1.25%로 내린 뒤 1년 5개월간 동결했다.

금통위 기준금리 인상에 관심 집중 "추가금리 속도 조절 관전포인트"

시장에서는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한은의 내년 경기에 대한 판단이 실물 경기 회복을 전망하는 기준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중심의 경기회복이 소비, 실물까지 어느 정도 온기가 닿았는지 여부다.

한은이 금통위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를 어떻게 설명할지에 의미를 뒀다. 가계부채가 최대치에 이른 상황에서 추가 금리 인상이 쉽지 않은 것도 영향을 미친다.

또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을 놓고, 그 만장일치 여부에 대해 엇갈리게 전망했다. 만장일치로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에는 추가 금리 인상이 빨라질 수 있는 신호라고 의미 부여했다.

이달 7일 공개된 10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위원들은 기준금리 인상을 지지하면서도 일부에서 경기 회복 균형을 우려했다. 당시 위원들 국내 경기가 글로벌 경기순환에서 다소 후행하는 점과 아울러 대규모 가계부채 위험을 점차 축소할지 있을지 여부를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금융시장에서도 이번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면서도 추가 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다양하게 예상했다. 주요국의 통화 정책 기조를 보며 시기를 가늠할 것으로 진단했다.

서향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1월 금통위에서 정책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시장의 컨센서스는 이미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금리 인상 자체가 시장금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금리가 동결될 경우 시장 금리가 급락하는 등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나 이 가능성은 오히려 낮다”고 전했다.

미국도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는 상황이다. 12월 금리인상 확률이 90%를 넘어섰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지명자도 12월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했다.

김명희 경제금융증권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