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대한민국 1호 '과학기술유공자'가 탄생한다. 유공자 후보는 연구성과가 뛰어난 과학자는 물론이고 의사·간호사 같은 전문 직업인,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한 산업계 인사까지 망라했다. 우리 사회 전 영역에서 과학기술 위상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711/1018676_20171129143614_587_0001.jpg)
29일 과학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과학기술유공자심사위원회의 최종 심사를 마무리했다. 최종 심사에서 유공자 1.5배수 후보를 선발했다. 첫해 유공자는 30명 내외를 선발할 계획이다.
이들 후보를 대상으로 공개 검증한다. 후보자의 범죄 경력 등 결격 사유, 과거 연구 부정 행위 유무를 살핀다. 후보자의 공적과 인적 사항을 홈페이지 등으로 공개, 국민이 참여토록 한다.
과기정통부는 조만간 1.5배수 후보 전원을 부처 홈페이지, 과기유공자 전용 홈페이지에 게시한다. 국민 의견 수렴을 포함한 공개 검증을 마치면 다음달 중 최종 선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시상과 기념식은 올 연말이나 내년 초로 예상된다.
1.5배수 후보는 다양한 이력과 출신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고인이 된 과학자부터 연구 성과가 뛰어난 생존 연구자, 과학기술을 활용해 사회에 기여한 전문 직업인까지 포함했다. 민간에서 국가 과학기술 수준을 높인 산업계 인사도 있다.
'유공자'의 기준을 학문적 성과에만 한정짓지 않았다. 국민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과학기술자의 업적과 삶이 대거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 성과와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삶을 살아온 전문가도 유공자 반열에 오른다.
과학기술유공자 지정제는 올해 첫 시행이다. 연구 성과와 생애 업적이 뛰어난 과학자에게 유공자급 예우와 혜택을 제공한다. 국민과 청소년 등 미래 세대에게 과학기술자의 훌륭한 삶을 알리고, 과기계 사기를 진작하는 게 목적이다. 2015년 제정된 '과학기술유공자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한다.
법률에 따라 정부는 매년 유공자를 선정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과학기술 유공자를 위한 별도의 독립 법률을 갖춘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과학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킨 데는 과학기술의 공이 컸지만 국민 인식은 낮은 편이었다”면서 “이번 유공자 지정은 이공계에 대한 국민 인식을 개선하고 더 많은 인재가 과학기술자의 삶을 선택하도록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