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협동로봇 성장 발판 마련 선결과제는?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협동로봇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규제 완화, 부품공급 안정화, 인식 개선이 최우선으로 꼽힌다.

협동로봇 확장에서 당장 걸림돌은 산업안전보건법이다. 현행으로는 한국GM 사례처럼 제조업체가 협동로봇을 현장에 도입하고도 쓰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협동로봇 제작사로서도 현행 안전 규제는 로봇 판촉에 큰 장애물으로 작용한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는 '인체 접촉 환경에서 운용되는 로봇의 안전 관련 국제표준 기반 기능 안전성 구현 기술 및 위험도 평가·저감 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할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한국로봇산업협회, 학계와 인증업계가 협동로봇 안전인증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협동로봇 안전인증기준을 실제 마련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소요될지, 향후 고용노동부에서 이를 어느 수준으로 수용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협동로봇 안전인증기준이 조속히 마련되지 못할 경우국내 협동로봇 시장 안착이 늦춰질 수밖에 없다.

해당 과제를 총괄하고 있는 전진우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로봇클러스터사업단장은 “협동로봇 시장 수요가 시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인증의 큰 틀은 빠르게 마련하려고 한다”며 “인증기준을 완성하는 시기를 예단하기는 어렵지만, 신중하게 안전기준을 세우면서 정부 부처 간 소통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봇 주요부품 공급처 다변화와 안정화도 국내 협동로봇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꼽힌다. 협동로봇에는 관절마다 하모닉드라이브라는 감속기가 들어간다. 세계적으로 일본 HDS가 하모닉드라이브 주요 공급사다. 타사 하모닉드라이브보다도 품질이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아 시장 선호도가 높다. 국내 로봇업계에서 HDS사 하모닉드라이브 부족 현상은 여전하다.

실제로 협동로봇 제조사 역시 하모닉드라이브 부족 현상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국내에서도 하모닉드라이브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공급사를 확보하는 것이 안정적 양산 관건이다.

시장의 협동로봇 인식 향상도 요구된다. 국내 시장에서는 올해 들어서야 협동로봇이 산업계 전면에 등장했다. 아직까지도 현장의 협동로봇 인지도는 낮다. 협동로봇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산업 분야나 운영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

협동로봇 제조사 관계자는 “올해 협동로봇 판매실적은 수십여대 수준”이라며 “협동로봇 안전 규제 문제가 해결되고 협동로봇을 바라보는 시장 인식이 개선된다면 차후에는 더 나은 실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영호기자 youngtig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