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결산]유통업계, '사드보복·규제강화'에 우울한 한 해

[2017 결산]유통업계, '사드보복·규제강화'에 우울한 한 해

유통업계는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과 새 정부의 규제 강화 움직임 등으로 우울한 한 해를 보냈다. 특히 한중 수교 후 25년 동안 '기회의 땅'이던 중국은 사드 보복으로 인해 '최대 리스크 지역'으로 전략했다.

사드 보복 최대 피해자인 롯데마트는 중국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 중국에서 112개(슈퍼마켓 13개 포함) 점포를 운영 중이던 롯데마트는 지난 3월부터 현지 매장의 정상적 영업이 불가능해졌다. 피해액 역시 눈덩이처럼 커졌다. 운영자금 등의 명목으로 1·2차에 걸쳐 7000억원의 자금을 긴급 투입했지만 이마저도 바닥날 처지다.

이에 롯데그룹은 롯데마트 중국 내 매장 처분을 위해 매각 주관사로 골드만삭스를 선정하고 매각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이마저도 순탄치 않다. 현재 5~10개 외국계 업체와 매각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구체적인 진전이 없어 내년으로 매각을 미루게 됐다. 롯데마트는 내년 1월까지도 매각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3차 긴급자금을 수혈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중국인 관광객의 의존도가 높은 롯데면세점은 올해에만 2000억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사드 여파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인천공항점은 임대료 인하가 어려울시 철수까지 검토 중이다. 롯데면세점은 현재 인천공항공사와 4차까지 임대료 인하 협상을 벌였지만 진전이 없는 상태다.

스타필드고양 외경
스타필드고양 외경

강화되는 규제도 유통업계를 힘들게 만들었다. 정부가 복합쇼핑몰 규제 강화를 공식화함에 따라 사업계획 수립에 차질이 불가피 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내년부터 복합쇼핑몰에 대해 대형마트 수준의 영업 제한 등을 통해 골목상권을 보호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면 유통 대기업들은 복합쇼핑몰 입지 및 영업제한이 이뤄지면 사업 확장과 매출에 차질을 빚는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유통 업태가 포화상태에 놓여 사실상 신규 출점이 어려운 상황에서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해 온 복합쇼핑몰까지 규제의 벽에 가로막힐 경우 유통업 성장이 정체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홈쇼핑 업계도 유난히 시끄러운 한 해를 보냈다. 롯데홈쇼핑과 GS홈쇼핑은 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뇌물성 자금을 건넨 혐의로 검찰 수사 대상에 올랐다. 홈앤쇼핑은 직원 채용 과정에서 부당 혜택을 준 혐의로 경찰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공영홈쇼핑은 협력사 미공개 정보로 주식에 투자해 시세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새해 일부 홈쇼핑은 재승인 과정에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정부가 업계 안팎 의혹과 여론을 감안해 재승인 심사 기준을 강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사상 처음으로 홈쇼핑 사업자 사업권이 취소되는 상황이 우려된다.

이주현 유통 전문기자 jhjh13@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