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투자뉴스]GS_거래비중 기관 38.91%, 외국인 25.46%

전자신문과 금융AI전문기업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위험대비 수익률 0.9로 상위권, 업종평균대비 성과 좋아

3일 오전 10시5분 현재 전일대비 1.28% 하락하면서 61,700원을 기록하고 있는 GS는 지난 1개월간 0.98% 상승했다. 같은 기간동안 변동성의 크기를 말해주는 표준편차는 1%를 기록했다. 이는 금융업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GS의 월간 주가수익률은 상당히 높았던 반면에 변동성은 가장 낮았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GS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0.9를 기록했는데, 변동성이 가장 낮은 상태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금융업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0.3보다도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GS가 속해 있는 금융업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미래에셋대우 3.2% -9.0% -2.8
한화생명 1.6% -8.0% -5.0
DB손해보험 1.5% 1.9% 1.2
CJ 1.2% -9.2% -7.6
GS 1.0% 1.0% 0.9
코스피 0.7% 0.3% 0.4
금융업 0.8% -0.3% -0.3

관련종목들은 상승 우위, 금융업업종 -0.28%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은 혼조세를 보이고 있고 금융업업종은 0.28% 하락하고 있다.
한화생명
6,860원
▲10(+0.15%)
DB손해보험
69,800원
▼500(-0.71%)
미래에셋대우
9,330원
▲90(+0.97%)
CJ
177,500원
▲1000(+0.57%)

증권사 목표주가 86,500원, 현재주가 대비 40%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GS의 평균 목표주가는 86,500원이다. 현재 주가는 61,700원으로 24,800원(40%)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신영증권의 이지연, 허정범 에널리스트가 " 17년 아쉬움을 뒤로하고, 18년을 보자, 타이트한 정유제품 수급 환경에서 GS칼텍스의 우상향 실적과 발전 자회사들의 외형 성장과 가동률 회복에 따른 증익이 가능하기 때문에 2018년에도 정유와 발전부문의 실적 증가로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3% 상승한 2.3조원을 기록할 전망…"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95,000원을 제시했고, 유안타증권의 최남곤 에널리스트가 " 2018년 정유 정제 마진에 베팅한다면..., 정유 산업에 대한 투자자의 선호 강화 시, GS칼텍스 지분을 보유한 동사에게도 그 온기가 전해질 전망. 장부가 → 실질 가치로 평가되면서 NAV 증가와 할인율 축소가 동시에 진행될 전망. 아쉬운 점은 기업의 M&A 활동이 정체되어 있고, 자회사 IPO 계획도 전무하다는 점…"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78,000원을 제시했다.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15.1%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5.97로 업종평균보다 낮으며, PBR은 0.61로 다소 낮은편.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GS는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GS DB손해보험 한화생명 CJ 미래에셋대우
ROE 10.2 - - 5.9 -
PER 6.0 - - 7.5 -
PBR 0.6 - - 0.4 -
기준년월 2017년9월 2017년6월 2017년9월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은 순매도(한달누적)
12월28일부터 전일까지 외국인이 2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수 우위를 유지하면서 71,103주를 순매수했고, 기관도 순매도를 기록하다가 다시 순매수로 돌아서면서 77,413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들은 매도 우위로 반전되면서 148,516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2%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GS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2%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1.52%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38.91%, 외국인 25.46%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기관이 38.91%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개인이 35.61%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25.46%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기관 비중이 41.9%로 가장 높았고, 개인이 36.5%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21.58%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여전히 약세패턴은 지속되고 있지만 추세전환의 가능성은 조금씩 높아지고 있다.

현재주가 근처인 60,800원대에 주요매물대가 존재.
최근 세달동안의 매물대 분포를 살펴보면, 현주가대 근방에 60,800원대의 대형매물대가 눈에 뜨이고, 이중에서 60,800원대는 전체 거래의 28%선으로 매매가 이가격대에서 비교적 크게 발생한 구간이라서 지금부터 주가가 어느 한방향으로 방향을 잡으면 강한 추세적 지지 또는 저항대가 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66,600원대의 매물대 또한 규모가 약하기는하지만 향후 주가상승시에 저항대로 작용할 수 있다.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