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15개 LH 사업지구에 드론 도입…250억 신규 시장 창출

이르면 다음 달부터 토지·주택 관련 업무에 드론이 활용된다. 공공 토지·주택 시장에서 250억원 규모의 신규 드론 시장이 열릴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15개 사업지구(389㎢)의 조사, 설계, 공사관리 등에 드론을 활용한다고 3일 밝혔다.

LH는 △계획(후보지조사, 공람공고, 보상) △설계(현황조사측량, 토목 건설정보관리시스템 설계, 건축설계) △시공(단지공사, 도로공사, 건물공사, 안전진단) △자산·유지관리 △홍보 등 5개 분야 12개 업무에서 드론을 활용한다.

토지 보상 조사 시 사업 초기 단계에 항공사진을 일회성으로 촬영·활용하고 직접방문을 병행하던 것을 수시 확보하는 드론 영상과 지적도·지형도 간 중첩·비교하는 방식으로 대체한다. 설계 단계에서는 시설물 형상·속성 정보를 실제와 동일한 3차원 정보로 구축하는데 활용한다. 3차원 정보는 설계·토목 건설정보관리시스템(BIM) 구축에 활용된다.

현장 공사 진행 파악과 공정관리, 안전점검 등 업무에도 드론을 활용한다. 아파트 등 주택 공사에서는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현장에 회전익 드론을 투입해 외관 조사, 균열, 파손 등 손상 규모를 파악한다.

LH는 드론으로 취득한 공간·공사 정보의 처리, 가공, 활용을 위해 원스톱 운영 시스템을 구축한다. 중앙 통제에 따라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곧바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등 데이터 생성부터 활용까지 원스톱으로 통합 관리한다.

드론 운영 플랫폼
드론 운영 플랫폼

국토부는 시스템으로 전국 LH 사업지구 내를 비행하는 모든 드론의 사전 승인을 처리한다. 드론은 중앙 통제에 따라 현장 지상관제장비(내비게이션, 경로 추적, 스마트폰)를 통해 비행한다. 현장에서 취득된 영상은 중앙 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된다. 중앙 통제실은 수신 영상을 지리정보체계(GIS)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정보는 현장으로 재전송되고, 빅데이터 서버(도시 플랫폼)에 저장된다. 부품·소모품 유지보수 관리 체계를 구축, 추락 등으로 인한 기체 손실·고장에도 즉각 대응한다.

LH는 국산 기술로 제작한 드론 25기를 도입했다. 일정 면적(약 30만㎡) 이상의 사업 지구에서는 외주 용역을 통해 드론을 운용한다.

국토부와 LH는 연간 약 250억원의 신규 드론 시장(시공 154억원, 자산관리 50억원, 계획 12억원 등)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 외에도 기존 연 130억 원이 소요되는 항공촬영 업무를 드론으로 대체하는 경우 비용은 절반 수준(1.8천만→0.8천만, 1㎢ 기준)으로 줄어들어 연 66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스마트한 건설관리로 공사과정 투명성이 확보될 것이며 다른 공공기관 및 민간 건설업계에도 선도적인 사례가 되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석배 경남과학기술대 교수는 “LH의 드론 도입으로 업무 효율성 증대 등 직접 효과 외에 안전사고 예방, 기술 인력 수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국 215개 LH 사업지구에 드론 도입…250억 신규 시장 창출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