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3일 오후 판문점 연락 채널로 우리 측에 전화를 걸어오면서 남북 간 연락채널이 2년여 만에 재가동됐다.
남북 당국 간 회담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3일) 남북 판문점 연락관 간에 통화가 이뤄졌다”며 “전화는 오후 3시 30분에 북한이 걸어왔으며, 전화와 팩스가 정상적으로 가동되는지 확인했다”고 밝혔다.
판문점 연락채널은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에 대한 반발로 북한이 끊었다. 이날 연결로 1년 11개월 만에 복원됐다.
지난 1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를 시작으로 2일 우리 정부가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3일 북한이 화답해 판문점 채널로 연락해온 것을 두고 남북관계에 해빙무드가 조성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남북 연락채널 복원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 이후 남북관계에 있어 최우선으로 추진한 사안이다. 연락 채널이 재가동되면서 어떤 형식으로든 남북 당국회담이 개최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가 제안한 대로 평창동계올림픽 한 달 전인 '9일 고위급 당국회담'이라는 형식으로 열릴지는 미지수다.
회담 의제와 관련해서는 북한은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에만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위임에 따른 입장을 발표하면서 '평창올림픽경기대회 우리 측 대표단 파견을 위한 북남 당국간 회담'이라고 규정했다.
의제가 평창올림픽 참가로만 한정된다면 고위급 회담이 아닌 체육실무회담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조명균 장관은 전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와 관련해 “연락망 복원의 의미가 크다”며 “상시 대화가 가능한 구조로 가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
성현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