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넘긴 중국 롯데마트 매각 작업이 한국과 중국 양국의 계속되는 외교 문제로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매각 작업이 장기화 되며 롯데마트는 지난해 8월 긴급 수혈한 2차 자금 마저 바닥을 드러내며 손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15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추진한 롯데마트의 중국 점포 매각 작업이 5개월째 난항을 겪고 있다. 한때 이마트 중국 매장을 인수한 태국 CP그룹과 구체적 부분까지 의견 접근이 이뤄졌으나 막판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협상이 결렬됐다.
업계에서는 매각이 장기화되면서 롯데마트가 영업정지 조치가 해제될 경우 매장 운영을 재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추측도 제기됐다.
롯데마트는 “영업정지를 해제하는 것이 운영과 매각 과정에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져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상황”이라면서도 “매각은 계획대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롯데마트로서는 매각이 장기화되자 답답한 심정이다. 영업정지가 계속될수록 고정비가 지출돼 손해가 커지기 때문이다. 중국내 112개 매장(마트 99곳, 슈퍼마켓 13곳) 중 74곳이 중국 정부의 소방, 위생점검 등 이유로 영업정지 당했으며, 롯데마트가 자체적으로 13곳 매장의 영업을 중단해 총 87곳이 영업정지 상태다. 하지만 현지법에 따라 롯데마트는 중국 직원에게 매달 정상임금의 70∼80%를 지급해야 한다.
인건비 등 고정비가 계속해서 지출되며 롯데마트가 지난해 8월 31일 차입한 3억달러(약 3400억원)의 2차 긴급수혈 자금은 이달 말 모두 소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매각이 장기화되며 3차 긴급자금 수혈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현재 중국 롯데마트는 자산 8500억원에 차입금은 8100억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3차 긴급자금 수혈로 차입금이 늘어날 경우 재무구조가 열악해져 매각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 롯데마트는 중국 백화점 매출에도 영향을 미친다. 중국 백화점은 적자 운영을 지속해왔지만 매출 신장률이 매년 두 자릿수를 기록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점포였다. 또 한국 여행객에게 홍보 효과도 커 시장 안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다. 하지만 사드보복 이후 매출은 반토막 났고, 현재까지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롯데로서는 지난달 13일부터 나흘간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사드보복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지며 해빙무드가 조성되길 기대했지만 이마저도 불발로 끝났다.
다만 다음달 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한·중 경제장관회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드갈등 영향으로 1년 9개월간 개최되지 못했지만 지난 문재인 대통령 방중 때 경제 분야에서 합의한 사항의 실질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롯데 관계자는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 특성상 민간기업이 현재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없다”면서 “외교 문제가 잘 해결돼 롯데마트 중국사업이 재개되고, 매각 작업도 순조롭게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주현 유통 전문기자 jhjh13@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