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7개 시·도에 분포한 연구개발지원단을 지역 과학기술 혁신 거점으로 키운다. 각 지역의 연구개발(R&D) 지원 조직 역할을 단순 조사·분석에서 기획·추진·평가 전주기로 확대한다. 지역에 자생적 R&D 생태계를 구축해 혁신성장을 유도한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801/1034766_20180117132436_197_0001.jpg)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2018년 연구개발지원단(연지단) 성과공유회'를 개최한다. 17개 시·도 연지단이 모여 지난해 성과를 발표하고 올해 사업 방향과 발전 방안을 논의한다.
연지단은 테크노파크, 지역 출연연, 독립기관 등 다양한 부서·형태로 존재하는 지역 과학기술 싱크탱크다. 2007년 부산을 시작으로 2016년 17개 지역에 구성됐다. 그 동안 지역 R&D에 대한 인식 부족, 지역 간 역량 격차 등으로 해당 지역 R&D 조사·분석을 수행하는 데 그쳤다.
과기정통부는 지역 균형발전을 본격화하려면 자기 주도적 과학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게 필수라고 판단했다. 지역 특성을 살린 혁신생태계 구성을 과제로 제시했다. 지역 자체의 R&D 기획기관이 필요하다고 봤다.
과기정통부는 올해를 '연지단 활성화' 원년으로 삼고 기능과 역할을 확대할 방침이다. 다양한 조직·부서 형태로 존재하는 연지단을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BISTEP) 같은 독립 R&D 기획기관으로 유도한다.
17개 연지단을 지역 R&D 발굴, 기획, 추진, 평가의 전주기 활동을 수행하는 전담조직으로 키운다. 올해 신규 정부 사업인 '과학기술 기반 지역수요 맞춤형 R&D 지역혁신 역량강화 지원' 사업의 과제 발굴·기획을 맡긴다.
앞으로는 연지단이 지역의 다른 조직과 연계 활동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R&D 역량을 강화하도록 한다. 이날 행사에서 활성화 원년 의미를 담아 '과기정통부 지정 연구개발지원단' 현판을 배포하고 경기연지단 현판식을 연다.
이 같은 정책은 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 중심 지역혁신 기본방향' 일환이다. 정부는 지난해 지역 혁신 전략의 핵심 과제로 △지역의 자기 주도 R&D 현안 설정 및 기획 △지역 자율 R&D 재원 확대 및 협의체 활성화 △지역 R&D 성과와 기업 활동의 연계 강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 과학기술 역할 확대를 제시했다.
중앙정부는 '지역 혁신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5년 간 지역 혁신 정책을 추진·점검한다. 지역의 '스마트 균형 성장'을 목표로 잡았다. 지역별 자생력과 잠재력이 높은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역동성과 다양성을 갖춘 형평 성장을 달성하는 게 골자다.
유국희 과기정통부 연구성과정책관은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해 지역의 R&D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연지단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지역 협의체를 상설화하고 사업 시 기획기관 설립을 우대하는 등 정책을 구체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