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관리시스템(PMS) 하나로…'연구행정 효율화' 가속

정부가 20여개에 이르는 연구과제관리시스템(PMS)을 단일화한다. 정부는 연구개발(R&D) 사업 관리를 효율화하고, 연구자는 행정 부담을 던다. 시스템 단일화에 따른 개별 부처, 연구 전문 관리 기관과의 조율 작업은 과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범정부 차원의 단일 PMS 구축을 위한 계획 마련에 착수했다. 올해 시스템 요구 사항과 필요 예산을 산정하고 내년부터 구축한다.

PMS는 정부 R&D 과제의 종합 정보 체계다. 연구 과제의 사전 기획 정보, 협약 정보, 참여 연구원 정보 등이 담긴다. 과제가 시작된 후에는 집행·진도 내역과 중간 평가 결과를 PMS로 관리한다. 과제 종료 후 연구 성과 활용 등 추적 조사에도 활용된다.

정부 R&D 사업을 집행하는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같은 연구 관리 전문기관이 사용자다. 현장 연구자도 정부 사업을 수행하려면 PMS에 접속해야 한다. 현재 부처별, 전문기관별로 20여개 PMS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과기정통부는 산재된 PMS가 연구 현장의 행정 부담을 가중시킨다고 판단했다. 연구자가 여러 부처·기관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면 과제별로 상이한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 각기 다른 체계에서 여러 과제를 수행, 행정 부담이 크다.

정부의 관리 효율도 떨어진다. 각 부처에 흩어진 정부 R&D 과제의 실시간 현황을 한눈에 보기 어렵다. 특정 연구자가 얼마나 많은 과제를 수행했는지, 어떤 과제를 수행하는지 확인하려면 여러 부처·기관에 산재한 정보를 일일이 살펴야 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12일 “분산된 PMS로는 국가 R&D 효율 제고에도 한계가 있고, 연구자의 행정 부담도 크다”면서 “PMS 표준화는 정부 관리 효율 제고, 연구자 행정 부담 완화 양 측면 모두에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정 시스템 효율화와 연구 현장 부담 최소화라는 정책 기조와 부합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연구비 관리 시스템을 기존 17개에서 2개로 통합하기로 했다. 연구비 관리 시스템에 이어 연구 과제 관리 시스템까지 통합 폭을 넓혀 '행정 효율화'를 가속화한다.

과기정통부의 구상은 기존 시스템 가운데 하나에 나머지를 통합하는 게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PMS 대다수가 오래됐다. 특정 기관이나 부처의 기존 시스템을 다른 곳에 강요하기도 어렵다.

통합 PMS를 운영할 실무 조직은 아직 정하지 못했다. 각 부처와 전문기관을 설득하는 것도 과제다. 통합 PMS가 완성되면 각 부처와 전문기관은 기존에 사용하던 독자 시스템을 닫고 새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각자의 특수성을 주장하며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