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차례상 지방 쓰는 법, 관계·성별에 따라 달라...'현고학생부군시신위' 기억해야

설날 차례상 지방 쓰는 법, 관계·성별에 따라 달라...'현고학생부군시신위' 기억해야

설날 차례상 지방 쓰는 법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방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쓴 종이를 의미한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5~6cm, 길이 20~22cm 정도의 화선지나 한지에 각 관계에 맞는 양식에 따라 한자 또는 한글로 쓴다.

쓰는 글자는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 등에 따라 달라진다.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 자를 먼저 쓴다. 다음으로 제주와의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 순으로 작성한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며 붓을 이용해 한자로 적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적는 경우도 있다.

또 제사지내는 사람 사이에 관계에 따라 작성법이 달라진다.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작성한다.

순서는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마지막으로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를 작성한 뒤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쓰고 마무리하면 된다. 차례가 끝난 뒤 지방을 태우는 것이 우리나라의 풍습이다.

 전자신문인터넷 김수정 기자 (kims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