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I [김서윤 광고 이야기]/ 광고모델의 ‘꽃’ 화장품 광고-남성편

ETI [김서윤 광고 이야기]/ 광고모델의 ‘꽃’ 화장품 광고-남성편

과거에는 거리를 걷다보면 골목마다 있는 화장품 매장의 포스터와 등신대, 홍보물 등이 중심이었고, 남자스타가 아닌 여자스타가 화장품광고 모델을 하고 있는 광고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고정관념을 깬 하나의 광고 등장이 화장품 광고 변화로 화장품 광고에서 ‘남자스타 모델’ 열풍을 가져왔다. 이러한 화장품 광고에 남성 화장품 모델이 대중화된 것은 지난 2002년 남자모델이 등장하게 된 시초가, ‘꽃을든 남자’ CF광고이다.

당시 꽃미남으로 인기가 대단했던 김재원과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로 인기가 급상승 했던 축구 국가대표 안정환이 광고모델 등장으로 그동안 광고와 다른 시각과 방향에서 소비자들은 차별화된 광고로, 신선함을 느꼈고, 곧 광고 브랜드 또한 상승효과 시너지로 기존의 화장품 광고가 변화에 시작과 동시에 광고 모델 관점에서도 선입견을 전환 시키게 되었다.

‘꽃을 든 남자’의 등장은 국내 남성 뷰티 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고 마초적인 남성을 주로 모델로 내세워 오던 여타 브랜드들과 달리 소위 ‘꽃미남’ 광고모델로 안정환, 김재원을 내세워 ‘피부가 장난이 아닌데’ 라는 카피를 대히트시키며 남성도 고운 피부에 대한 열망이 여성 못지 않다는 인식을 심어줬고, 광고의 카피는 아직도 여러 패러디를 낳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화장품 광고는 당연히 여성 모델이 해야 한다’라는 기존의 편견을 깨고 ‘역발상 마케팅’은 화장품 광고에 전환점으로, 화장품 광고가 여성 화장품과 남성 화장품 매출 증가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마케팅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

광고 모델 흐름에 변화로 여성들의 영역으로만 여겨지던 화장품 광고에 남자스타가 모델로 나서면서 예전에는 자신의 피부 타입과 맞는, 또 선호하는 브랜드를 보고 화장품을 구매하였지만, 광고 모델의 역발상으로 소비자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남성 모델이 광고하는 브랜드에 호감을 가지고 구매 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변화 또한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화장품 광고의 남자스타 모델은 여성들의 구매욕을 자극해 남성용과 여성용 제품 모두 팔리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인이 쓸 여성라인 뿐 아니라 연인이나 가족에 선물할 남성라인까지 사게 만드는 효과가 있는 장점을 가진다.

‘꽃을 든 남자’ 화장품 광고 시작으로 계속해서 남성 모델 트렌드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시대별로 인기가 가장 높은 모델들로 원빈, 현빈, 박보검, 이종석 등 남성 배우와 엑소, 방탄소년단, 워너원 등 남성 아이돌 그룹들이 현재까지 활발히 모델로 활동 중이다.

그리고 범위가 한층 넓어진 화장품 광고는 개성 있는 모델 싸이를 내세웠다. 당시에 ‘강남스타일’ 노래로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퍼져 나가는 싸이 인지도를 통해 ‘꽃을 든 남자‘의 야심작 ’싸이맨즈밤‘ ’싸이 에너지팩토리‘ 광고를 만들어 시대에 흐름에 따라 모델 전략도 차별화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곧 화장품 광고 모델은 인지도와 인기도와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남성 모델은 여성 고객과 화장에 관심을 갖고 있는 남성 고객 모두를 끌어들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 동시에 본인을 꾸밀 줄 아는 ‘그루밍족’ 남성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남성 모델 활약은 앞으로도 돋보일 전망이다.

최근엔 다양한 매체가 발달하면서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더 넓은 영역에서 국내 광고로만 아닌 범위를 넘어 해외로까지 쉽고 다양하게 Creative 광고를 만들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화장품 광고로 광고 모델은 화장품 브랜드에 가치와 이미지를 만들기도 한다.

화장품 광고에서 마케팅으로 모델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과거와 달리 Gloval하게 빠르게 퍼져 나가는 광고 시장이 광고 모델과 브랜드 이미지 상승과 매출 증가를 가져오는 win&win 전략과 동시에 화장품 모델은 여자만 한정이 아닌 남자모델로 고정관념을 전환시킨 광고 이미지를 가져 왔듯이, 광고모델에 ‘꽃‘인 화장품 광고가 계속해서 다른 방향과 관점에서 차별화를 만들어 더 Creative한 광고와 광고 모델이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필자 소개/ 김서윤

직업: 모델신화 에이전시 대표. 연세대학교언론홍보대학원(광고홍보전공)재학 중. 일본모델에이전시와 협력관계를 맺고 한·일 모델교류와 발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광고모델 및 에이전시에 관한 책을 집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