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일본, 중국과 함께 세계 3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요국이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8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LNG 소비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LNG 의존도를 낮출 수 없고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태생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운 구조다. 그렇다면 장기간에 걸쳐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LNG를 도입하는 것이 숙제다.
LNG 수급 관리를 위한 최적의 도입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실리를 챙길 수 있는 전략 접근이 필요하다. 마침 LNG 시장은 구매자의 입김이 세다.
전문가들은 이런 이점을 살려 유연한 계약 조건의 미국 LNG와 러시아 신규 프로젝트로부터 2020년대 초 이전에 중장기 계약을 맺고 최저가 도입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8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르면 신규 LNG 복합발전은 2024~2026년께 시장에 진입한다. 2020년대 이전에 유리한 조건으로 신규 도입 계약을 체결하고, LNG 터미널과 고효율의 신규 발전소를 동일 입지에 지어 운영비를 절감하면 전력 생산비용 절감도 유도할 수 있다.
또 발전사가 공동으로 민간과 전용 LNG터미널을 건설하고 공동 구매로 구매력을 확대해 지분 참여를 추진하면서 국내 조선업계와 동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최적의 LNG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면 발전 공기업의 연료 도입비를 절감, 전기요금 인상을 억제할 수 있다. 미국 셰일가스 도입 등으로 대미 통상 압박 문제도 일부 해소할 수 있다.
LNG 허브 구축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세계 LNG 수요의 80%를 책임지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이 참여하는 LNG 허브를 구축해 시장 대응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해외 트레이딩을 포함한 동북아 LNG 허브 구축을 두고 3국간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LNG 허브를 구축하면 불공정한 거래 관행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한·중·일은 세계 LNG의 절반 이상을 소비하지만 미국과 유럽보다 높은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허브 구축이 지연되면 일본, 중국에 LNG 주도권을 빼앗길 우려도 있다.
정부도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후보자 청문회 때 “탈원전 정책 기조에 맞춰 한국을 동북아 LNG의 교역 허브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백 장관은 당시 “시장 다변화 정책으로 LNG 가격에 대응하겠다”면서 “한·중·일 3국간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이 동북아 가스 허브의 트레이드가 될 수 있는 하나의 기회다. 대한민국의 허브화를 통해 새로운 경제를 견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호 산업정책부기자 snoop@etnews.com
-
최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