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망경]평창올림픽, 그 이후

17일 간의 '지구촌 겨울축제' 평창 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평창올림픽은 북핵 위기 속에서도 남북단일팀이 결성되면서 논란과 기대감을 동시에 안겼다.

이제 잔치는 끝났다.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를 냉정하게 살펴봐야 한다. 북핵 문제 해결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북핵을 둘러싼 외교·안보 문제는 통상·무역 문제와도 연결되는 고차원 연립방정식이다. 속도조절을 통한 유연한 대응책이 절실하다.

또 하나 중요한 과제가 남아 있다. 평창올림픽 이후 지역 발전 전략이다. 강릉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하키센터 등 대부분의 시설물은 사후관리를 맡을 주인이 없다. 정부는 일부 시설을 복합 레저나 관광용 등으로 활용한다고 밝혔지만 전문 체육시설이 대중 관광시설물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9일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남북선수들이 입장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9일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남북선수들이 입장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페이스북>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인천아시안게임 등 여러 국제경기 이후 지자체가 빚더미에 올랐다. 악순환을 되풀이해선 안 된다.

지역 발전을 고려한 혁신성장 전략이 필요하다. '돈 먹는 하마'에서 '황금알 낳는 거위'로 바꿀 수 있는 전략 수립이 절실하다.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관광산업과 함께 지속적인 산업 발전 플랫폼으로 청년 일자리도 창출해야 한다. 드론국제 경기장이나 오픈형 신기술 테스트베드 공간, 대규모 클라우드컴퓨팅센터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바다와 근접한 만큼 신재생에너지 측면에서의 접근도 용이해 보인다.

미래 먹거리를 찾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국민으로부터 활용 아이디어와 제안 접수를 받는 것도 방법이다. 평창올림픽이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 받으려면 정부가 지자체, 기업과 손잡고 치밀한 사후 계획을 세워야 한다.

[관망경]평창올림픽, 그 이후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