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연구성과정책관'을 '과학기술일자리국'으로 바꾸는 조직 개편을 추진한다.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산하 국민생활연구팀 기능·역할 확대도 검토하는 등 일자리와 국민생활 분야 과학기술 정책 역량을 강화한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photonews/1803/1047451_20180302133712_636_0002.jpg)
4일 관가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1차관 산하 연구성과정책관(국장급)을 '(가칭)과학기술일자리국'으로 개편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다.
연구성과정책관은 공공 연구개발(R&D) 성과 확산과 관리가 주 임무다. 기술 사업화 촉진, 지역 R&D 진흥,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지원도 소관 업무다.
과기정통부는 공공 연구 성과의 활용 목표를 '사업화'에 한정하지 않고 일자리 창출로 연결할 방침이다. 일자리 확대와 고용 안정이라는 문재인 정부 국정 목표를 반영한다.
연구성과정책관은 부처 차원에서 적극 추진하는 '연구산업 육성'도 맡았다. 연구산업은 연구개발서비스업, 연구개발(대행)업, 연구장비 제조업 등 R&D 주변 산업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R&D 생태계를 확장하고 전문성을 높이는 선진국형 산업으로 꼽힌다.
과기정통부는 연구산업 육성을 통해 과학기술 기반 고급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종합계획을 발표했고 올해와 내년 신규·대형 사업 신설을 추진한다. 조직 개편 시도는 과학기술 일자리 사업에 주력하겠다는 뜻이다.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산하 국민생활연구팀의 기능·역할 확대도 거론된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우주, 원자력 같은 거대 국책 R&D와 정책, 국제협력을 총괄한다. 문재인 정부 들어 이들 사업은 구조조정 국면에 들어갔다. 반면에 미세먼지 대응 R&D, 재난·재해 대응 중요성은 부각됐다. 정식 과가 아닌 자율팀이 맡았던 업무지만 관련 사업과 예산은 늘어나는 추세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거대공공 R&D 영역은 그 동안 '거대' 부문에 이목이 집중됐지만 이제부터는 '공공'의 역할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면서 “재난·재해 연구 등 국민 생활 연구가 '공공'의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과학기술 연구 현장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녹색도시기술연구소 기능 재편을 검토 중이다. 녹색도시기술연구소는 물자원 순환, 환경복지, 에너지 등을 연구하는 조직이다. 여기에 재난·재해 관련 연구를 더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그 동안 축적한 연구 성과를 도시·주거 복지에 응용하거나 신기술을 개발한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