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직장 임금, 10년 넘게 영향…“노동시장 유연성·안전성 높여야”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첫 직장 임금 수준이 10년 이상 임금·고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청년 취업준비 장기화의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시장 유연성·안전성 강화, 생애소득 격차 축소가 대안으로 제시됐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청년기 일자리 특성의 장기효과와 청년고용대책에 관한 시사점' 보고서에서 “첫 일자리 임금은 첫 입직 후 10년 이상 노동시장 성과(임금·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예컨대 첫 일자리 임금이 높은 사람은 이보다 낮은 사람보다 10년 이상 기간에 걸쳐 평균적으로 많은 임금을 받는다는 설명이다.

한 연구위원은 이런 경향이 “청년이 좋은 첫 일자리를 얻기 위해 노동시장에 정착하지 못한 채 취업준비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하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졸 청년은 졸업 이후 미취업 기간이 평균보다 길어지면 경력 손실로 임금이 낮아지고, 동일 경력 내에서도 시간이 지나면서 임금이 낮아진다”고 밝혔다.

대졸 청년은 경력 초기 임금과 함께 경력 초기 기업규모, 일자리 안정성 여부도 향후 10년 이상 노동시장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위원은 “경력 초기의 불운이 지나치게 오랫동안 지속되는 일을 막으려면 궁극적으로는 노동시장의 전반적 유연성, 안전성을 강화하는 구조적 차원의 조정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노동시장 구조개혁이 당장 이뤄지더라도 성과가 가시화되려면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며 “경력 초기 일자리 특성에 따른 생애소득 격차를 줄이는 정부의 개입이 한시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근로에 대한 지원금은 필요하지만, 취업지원 시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함께 감안하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청년층 중소기업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성과가 단기적·반복적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근로청년에 대한 소득지원 방식도 특정 중소기업에서의 근속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방식보다 청년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직장을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방식이 노동시장 정착도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