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위기에 내몰린 한국지엠 협력사들이 정부와 GM의 협상이 조속한 협상 개시를 요구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8일 입장 자료를 내고 “한국지엠 협력 부품업체들의 생존기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려면 정부와 GM의 협상이 조속히 본격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조합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한국지엠 1차 협력업체는 총 318개사이며 이 가운데 LG전자, 두산인프라코어, 세방전지, 한국타이어 등 비전문업체 17개사를 제외한 순수 자동차부품 협력업체는 301개사다.
![한국지엠 협력부품업체 현황.](https://img.etnews.com/photonews/1803/1049952_20180308180241_620_0001.jpg)
301개사 중 한국GM과 100% 단독 거래하는 업체는 86개사이며, 납품액의 50% 이상을 한국지엠에 의존하는 업체는 154개사(51.2%)이다. 301개사의 종업원은 9만3015명이며, 이 가운데 한국지엠과 단독 거래하는 업체 86개사의 종업원은 1만713명이다.
2차, 3차 부품업체 종업원 4만7000여명을 포함하면 한국지엠 전체 협력사 종업원 수는 14만여명에 달한다. 여기에 원·부자재 납품업체 등 한국지엠과 연결된 이해 관계자들의 고용 인원은 총 3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조합은 “연초부터 최저임금 대폭 인상에 이어 근로시간 단축이 확정되면서 협력업체들의 수익 구조는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라며 “한국지엠 수출과 내수판매 부진이 맞물리면서 납품 물량이 급감한 협력업체들은 매출액 감소, 가동률 저하 등으로 경영상 어려움이 누적되고 있다”고 밝혔다.
1차 협력사들은 2월 기준 공장가동률이 50∼70%대로 떨어졌고 매출액(1∼2월)도 전년 동기 대비 20∼30%가량 급감했다는 게 조합의 설명이다.
조합은 “최근 금융권에서 한국GM과 거래하는 협력업체들을 중점관리대상 업체로 분류하고 대출한도 관리, 여신 축소 등의 조처를 하고 있다”면서 “영세한 2∼3차 협력 부품업체의 유동성 위기에 따른 부도 발생이 우려된다”고 했다.
일례로 한국지엠 협력사들은 납품 대금으로 받은 60일 만기 전자어음을 3%대 금리로 할인해(외상채권담보대출) 운영 자금으로 쓰고 있는데, 최근 은행들이 어음 할인을 거부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합은 “1차 협력사들이 2∼3차 업체에 끊어준 60일짜리 어음마저 할인이 거부되면 영세한 2∼3차 업체들이 먼저 부도가 나 부품 공급망이 붕괴하고, 1차 협력사들까지 연쇄 부도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정치연 자동차 전문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