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美국무부-코카콜라, 블록체인 기술로 강제노동 막는다

[국제]美국무부-코카콜라, 블록체인 기술로 강제노동 막는다

코카콜라는 미국 국무부와 협력해 강제노동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체인의 디지털 장부 기술을 활용한다고 1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미 국무부는 이번 프로젝트가 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는 첫 번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2500만명의 사람들이 강제로 노동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중 47%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람이다.

식음료 회사들은 사탕수수를 얻는 국가로부터 강제노동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작년 노더체인(KTC)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부분의 식음료 회사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코카콜라는 2020년까지 설탕 공급 체인에서 아동노동, 강제노동, 토지권리 등에 관한 국가 수준의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아울러 1년 넘게 여러 가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코카콜라의 브렌트 월튼 직장권리 글로벌 책임자는 “우리는 이 프로젝트의 파일럿 파트너로 참여해 우리 공급망에서 노동 정책과 관련한 검증 프로세스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비영리단체인 '블록체인트러스트액셀러레이터(BTA)'는 새로운 사업은 블록체인의 유효성 검사와 디지털 공증 기능을 이용해 근로자와 근로계약 간 안정된 등록부를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BTA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사회적 영향력을 미치기 위해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국무부는 프로젝트에 노동 보호에 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할 계획이다.

스캇 버스비 차관보는 “국무부가 블록체인 기반 혁신적인 플랫폼을 만드는데 참여하는 것은 기쁜 일”이라면서 “기업이 블록체인 캠페인에 참여하라고 강제할 수는 없지만, 계약 준수를 촉진할 수 있는 검증된 일련의 증거를 생성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기술기업인 비트푸리그룹이 이 프로젝트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이머코인사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